높이에 비해 胴體가 가늘고 口緣이 넓게 펼쳐진 梅甁形의 器形입니다. 肩部에는 흰 바탕에 문양을 효과적으로 살려 菱花形의 문양을 표현하고 胴部에는 가지에 달린 모란꽃(牡丹折枝)을 상하 2단에 엇 배열로 세밀하게 구성 되었으며 단정한 모습에서 기품있는 아름다움을 보입니다. 多數가 알려져 있는 자주요백지흑소락병은 그 형태가 屈指의 名品으로 이름이 높습니다. 白地黑搔落이란 灰色土로 빗은 器物에 白化粧을 입혀 繪刀具로 백화장을 회색토가 보이도록 剝離線刻으로 문양을 긁어내고 文樣以外의 부분을 살려 문양이 돋보이게 하여 투명한 釉를 발라 燒成한 기법입니다. 白색 표면에 검은 문양이 돋보이는 인상적인 장식은 북송 후기에 자주요에서 성황리 사용되었습니다.
백지흑소락모란문병(白地黑搔落牡丹文甁)
北宋時代 (12世紀) 磁州窯 / 高40.2cm 徑19.8cm 底徑9.4cm / 永靑文庫(日本 重要文化財)
'외국(外國) > 옛 그림.도자기(中國)'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지흑소락용문장경병(白地黑搔落龍文長頸甁) (0) | 2010.11.11 |
---|---|
백지흑소락용문병(白地黑搔落龍文甁) (0) | 2010.11.10 |
백소락당초문심발(白搔落唐草文深鉢) (0) | 2010.11.08 |
백소락당초문수주(白搔落唐草文水注) (0) | 2010.11.08 |
흑유수화모란문병(黑釉銹花牡丹文甁) (0) | 2010.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