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얄문을 시문한 귀 대접입니다, 귀얄기법은 돼지털 같은 뻣뻣한 털로 만든 붓으로 백토액을 찍어 그릇에 바른 시문기법을 말합니다. 약간은 盒처럼 胴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좁혀 조형하였으며 구연부 한편에 구멍을 내고 그 구멍 외면에 돌출된 주둥이를 붙여 茶을 따르거나 탕약이나 간장류 술이나 물 등을 입이 작은 甁에 용이하게 따를 수 있게 만든 용기입니다. 내외 전면에 백토를 귀얄붓으로 칠하고 유약을 발라 번조하였습니다.
분청사기귀얄문귀대접(粉靑沙器귀얄文片口鉢)
朝鮮 16世紀 /高 9 cm, 口徑16.5cm, 底徑5.5cm, / 國立中央博物館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조화엽문병(粉靑沙器彫花葉文甁) (0) | 2010.02.22 |
---|---|
분청사기인화문'공'명완(粉靑沙器印花文'公'銘碗) (0) | 2010.02.22 |
분청사기철화연화문항아리(粉靑沙器鐵畵蓮花文壺) (0) | 2010.01.14 |
.분청사기상감용무늬항아리(粉靑沙器象嵌龍文壺) (0) | 2010.01.13 |
.백자상감연당초문호(白磁象嵌蓮唐草文壺) (0) | 2010.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