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은 삼국시대이래 사용된 器皿으로 특히 조선시대에 그 예가 많은데 도자기로 만든 것은 대개 약술이나 특주를 숙성시키는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장군은 注口가 옆으로 달린 이른바 橫口式 장군과 위쪽에 달린 縱口式장군으로 大別 되는데 이 장군처럼 바닥이 둘로 사용된 예도 있습니다. 胴體는 거의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데 목이 긴 注口와 타원형 굽은 따로 붙혔습니다. 全面에 귀얄로 白土粉裝을 하였는데 귀얄자국이 선명하며 數條의 음각선으로 동체를 等分하였으며 主文樣인 삼엽문은 전후면에 크게 자리잡고 있는데 X자형으로 교차도는 줄기와 둥근 잎끝의 처리는 전형적인 방법이며 마구리 위쪽에 있는 당초문은 유려한 필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약은 비교적 얇게 施釉되었는데 한쪽 마구리에는 유약이 두껍게 뭉쳐 있으며 다른 쪽은 露胎인데 대칼로 안바닥을 다진 흔적이 있으며 내화토 모래가 일부 붙어 있습니다.
분청사기철화삼엽문장군(粉靑沙器鐵畵三葉文缶)
朝鮮 15~16世紀 /高21.5cm, 口徑4.8cm, 底徑 11.3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덤벙문병(粉靑沙器덤벙文甁) (0) | 2010.01.12 |
---|---|
분청사기귀얄문편병(粉靑沙器귀얄文扁甁) (0) | 2010.01.12 |
분청사기철화당초문접시(粉靑沙器鐵畫唐草文楪匙) (0) | 2010.01.12 |
분청사기철화당초문대접(粉靑沙器鐵畵唐草文鉢) (0) | 2010.01.12 |
분청사기철화당초문병(粉靑沙器鐵畵唐草文甁) (0) | 2010.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