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분청사기귀얄문편병(粉靑沙器귀얄文扁甁)

鄕香 2010. 1. 12. 22:21

 

 물레성형 후 전후면을 두들겨 扁甁을 만든 것으로 胴體下部를 제외한 표면에는 귀얄로 백토를 발랐습니다. 無作爲로 분장된 부분과 흘러내린 釉滴이 한데 어울려 한 폭의 추상화 같기도 하여 흥미롭습니다. 인위적인 器形의 변조라든가 특별한 施文 없이 이런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 분청사기가 지닌 본연의 아름다움이며 특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약은 얇게 施釉되었으며 잘 녹아 맑고 투명합니다. 굽 안바닥 일부는 露胎이며 굽 밑에 굵은 모래를 받쳐서 번조하였습니다. 

 

   

 

분청사기귀얄문편병(粉靑沙器귀얄文扁甁)

朝鮮 15~16世紀 /高23.3 cm,  口徑 4.6 cm, 底徑 8.8 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