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안압지에서 1975년 발굴된 2점 중 하나입니다. 주연(周緣)을 투각(透刻)으로 당초문(唐草文)을 돌린 큰 光背 內, 三尊의 머리 위치에 원형(圓形)의 頭光를 구성하였는데, 本尊은 花文을, 두 보살은 당초문을 투각하였습니다. 本尊佛은 겹연잎(複蓮葉)을 상하로 배분하여 활짝 피어오른 연화좌(蓮華座)에 봉오리모양의 육계(肉髻)를 둔 통통하고 둥근 얼굴에 목(頸)은 2선(二道)을 음각으로 표현을 주고 양 어깨를 걸쳐 느린 통옷(天衣)주름은 가슴에 U자형을 이루며 반 접어 올린 팔에 걸쳤다가 다시 가부좌한 무릎을 거쳐 발목에 이르러 대좌(臺座)에 이르기까지 포물선을 그리며 부드럽고 유려한 시각적 느낌을 줍니다. 두 손은 복부(腹部)에 모아 오른 손은 바깥쪽으로 엄지와 검지를 맞물리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 . 약지를 모아 안쪽으로 맞물리고 무상무념에 젖은 얼굴에 가늘게 뜬 시선을 정면에 두고 있으며, 양 옆의 두 협시보살(脇侍菩薩)은 발을 모아선 채 두 무릎을 살짝 굽혀 엉덩이를 부처상에 가까이 붙여 S형의 요염한 자태로 머리에 당초문을 새긴 둥근 육계모양의 보관을 올리고 소원연선(小圓連旋)의 목걸이에 양 어깨에서 느린 천의는 두 팔을 타고 내리다 양 팔꿈치를 감아 복부아래에 U형을 이루고 다시 팔에 걸쳐서 발목까지 느렸으며, 부처로 부터 오른쪽 보살은 왼손을 왼쪽 가슴께로 올려 엄지와 중지와 약지를 밖으로 모아 보이고 오른손은 연꽃 한 송이를 손바닥에 올려 아래로 늘여 아래복부에 살며시 붙여대고 있으며, 왼쪽보살은 똑같은 형태이나 다만 왼손과 오른손의 모양만 서로 바뀌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문양이 섬세하고 선이 아름다운 이 삼존불은 광배 주연에 8개의 못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려 있어 목판에 부착하여 벽에 걸었던 불상으로 생각됩니다.
금동판삼존불상(金銅板三尊佛像)
新羅時代 7 世紀 末 / 慶州市 仁旺洞 雁鴨池 出土 / 高27cm,幅20.5cm /國立慶州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이사미륵삼존불(삼화령애기부처) (0) | 2009.12.11 |
---|---|
금동삼존판불(金銅三尊板佛) (0) | 2009.12.10 |
금동여래입상(金銅佛立像) (0) | 2009.12.10 |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 (0) | 2009.12.10 |
금동반가사유상불두(金銅半跏思惟像佛頭) (0) | 2009.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