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백제 한성시대 대외교류(漢城時代對外交琉)

鄕香 2009. 10. 30. 16:27

 

백제가 중국과 정식으로 교류한 시기는 근초고왕27 . 28년(372 . 373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晋에서는 근초고왕을 '진동장군령낭랑태수(鎭東將軍領樂浪太守)로 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전 3세기말에 이미 마한의 일원으로 중곡과 교류를 하고 있어 시기는 더 소급될 수 있습니다. 실지로 백제영역에서는 西晋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생각되는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어 공식적인 외교관계 이전에 문물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후 백제는 주로 중국 南朝와 교류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백제지역에서 출토되는 중국제 유물은 청자나 초두 등의 위신제로서 지배계층과 관련이 있는 성곽이나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물은 대외교류를 통한 당시 중국과 백제, 그리고 백제 내부의 중앙과 지방과 의 관계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유적을 편년하는 표지적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西晋時期에 유행하였던 회유전문토기(灰釉錢文土器)는 현재 몽촌토성과 홍성 신금성에서 발견된 바 있으며,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금동제의 과대금구는 중국 호북성(湖北省) 웅가령(熊家嶺)의 東晋墓에서 발견된 과대의 부속구와 동일한 형태이고, 안악3호분 벽화에는 장하독(帳下督)이 이를 패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당시 고위 관직자와 관련되는 유물로 晋과의 조공무역을 통하여 수입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문토기편(錢文土器片)

百濟 漢城時代 / 서울 몽촌토성  / 길이4.7cm/서울大學校博物館 所藏   

 

 흑갈유토기편 . 전문토기편(黑褐釉土器片 . 錢文土器片)

百濟 漢城時代 / 홍성 신금성  / 길이11.2cm/忠南大學校博物館 所藏   

 

금동과대금구(金銅銙帶金具)

百濟 漢城時代 / 서울 몽촌토성 85-1주거지 / 길이4.1cm/서울大學校博物館 所藏   

 

 

청동제 초두는 2점이 출토되었는데, 모두 東晋系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풍납토성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三獸脚龍首柄의 청동초두는 다리의 접지각이 커진 것으로 보아 보다 늦은 시기의 것으로 추정됩니다.

 

 초두()

百濟 漢城時代 / 서울 風納土城 / 지름 20.8 cm/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원주 법천리에서는 초두와 더불어 羊形靑磁가 출토되었는데, 중국의 南京 象山 7號墓에서 나온 越州窯製의 그것과 아주 유사합니다. 법천리 2호분은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의 무덤으로 추정되는데, 백제토기와 함께 부장되는 것으로 보아 백제가 장악하고 있는 주변 세력의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양형청자(羊形靑磁)

 百濟 漢城時代 / 原州 法泉里 / 높이 12.4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천안 화성리 출토 盤口甁은 목이 길어진 東晋의 것이고, 석촌동의 청자사이호도 손잡이의 형태가 각진 것으로 보아 동진시기의 유물로 판단됩니다.

몽촌토성에서 나온 중국제 청자와 벼루도 역시 남조와 관계가 있는  유물입니다. 이와 같이 백제에서는 중국 남조에서 만든 물건을 중앙이나 지방 상류층이 위신제로 사용하고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청자반구호(靑磁盤口甁)

百濟 漢城時代 / 천안 화성리 / 지름 37.7 cm/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특히 원주 법천리, 천안 화성리는 백제가 장악하고 있는 주변지역으로 한성기에 백제의 중앙과 관계가 있는 지방의 유력자가 복속의 대가로 하사받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백제에서는 중국제 재화의 수입뿐 아니라 제작기술의 도입도 이루어졌는데, 천안 화성리에서 나온 銀象嵌大刀에 보이는 상감기법은 중국의 남조나 고구려를 통해 들어온 기법으로 추정됩니다. 이후 백제에서 금상감기법으로 七支刀를 만들어 일본에 보낼만큼 이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동제복(銅製)

높이 19.4cm/日本 東京博物館 所藏   

 

 흑갈유천계병(黑褐釉天鷄甁)

 百濟 漢城時代 / 天安 용원리 / 높이 16.4cm/公州大學校博物館 所藏   

 

 천계형주자(天鷄形注子)

 百濟 漢城時代 / 傳 淸州 / 높이 19.2cm/圓光大學校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청자호자(靑磁虎子)

百濟 漢城時代 / 傳 開城 / 높이 20.4 cm/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귀걸이(耳飾)

百濟 漢城時代 / 진천 회죽리 . 청원 삼봉리 / 길이(왼쪽) 6.0 cm/ 國立淸州博物館 所藏 

 

 개배(蓋杯)

百濟 漢城時代 / 청주 신봉동 / 높이8.3 cm/ 國立淸州博物館 所藏 

 

 장경호(長頸壺)

 百濟 漢城時代 / 대전 구성동 / 높이 23.1cm/한남大學校 所藏 

 

 

 

 

 

參考資料 : 國立博物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