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토기의 기종구성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으로는 三足器, 直口短頸壺, 廣口長頸壺, 高杯, 器臺 등이 있습니다.
이 , 가운데에서 삼족기는 백제토기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몽촌토성에서 많이 출토되어 한성백제가 성립되던 3세기 중 - 후반 무렵부터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기원은 중국 晋대의 청동제 三足盤에 있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직구단경호는 둥근 몸체에 곧고 짧은 목을 가진 항아리로 어깨부분에는 음각문양대가 몸체 아랫부분에서 바닥까지는 두드린 문양이 있는 점이 중요한 특징입니다. 이 기종은 한성시대에 유행하여 적갈색 연질의 深鉢形土器와 더불어 무덤의 부장품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고배는 기대와 더불어 고구려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남한지역의 토기 가운데에서는 주종을 이룹니다. 접시모양의 몸체아래에 굽다리를 붙여 놓은 점은 동일하나 굽다리의 형태, 장식 등에 있어서는 백제, 신라, 가야 등이 각각 고유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제 고배의 특징은 신라, 가야의 것에 비해 거의 아무런 장식이 없는 짧은 굽다리를 달고 있고 5세기 중엽이전의 한성시대에는 무덤에 부장되는 예가 거의 없다는 점 등이 특색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백제 토기의 기형변화에 대해서는 한성시대를 제외하고는 아직 그다지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형편이지만 대체적인 변천과정은 굽다리접시의 경우 점차 굽다리가 높아지며, 곧은목단지는 어깨에 있는 문양대가 간략화 . 소멸화의 경향이 나타납니다. 한편 광구장경구형호는 목의 길이가 길어짐과 더불어 돌대장식이 더해지고 있는 등의 변화가 확인됩니다. 이상으로 살펴 본 백제 토기의 특징을 요약해 보면, 형태상의 복잡성이 신라 . 가야토기에 비해 낮은 반면 고구려 토기 보다는 높아 실용성의 관점에서 본다면 전자와 후자의 중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직구단경호, 삼족기 등의 주요한 그릇의 형태와 문양은 당시의 다른 삼국에 비해 중국 晋代의 요소와 유사점이 많아 주목되는데, 이는 백제의 국가형성과정에서 중국과의 대외교섭(對中交涉)이 가지는 의미가 컷음을 시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백제문화의 개방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겠습니다.
항아리(壺)
百濟4世紀/서울 석촌동4호 . 몽촌토성88 - 4호 저장공/ 높이 (오른쪽)25.8cm /서울大學校博物館
겹아가리단지(二重口緣壺)
百濟4-5世紀/공주 이인면/ 높이25.3cm /國立公州博物館
굽다리접시(高杯)
百濟4世紀/서울 석촌동 봉토분. 몽촌토성85 - 10호 저장공/ 높이 (오른쪽)7.8cm /서울大學校博物館
항아리(短頸壺)
百濟4世紀/서울 몽촌토성85-2 . 88 - 4호 저장공/ 높이 (오른쪽)17.7cm /서울大學校博物館
그릇받침(器臺)
百濟5世紀/서울 몽촌토성88 - 4호 저장공/ 높이19.1cm /서울大學校博物館
그릇받침(器臺)
百濟5世紀/서울 몽촌토성85 - 서북구 . 85 - 5호 저장공/ 높이(오른쪽)49.5cm /서울大學校博物館
굽다리접시(高杯)
百濟5世紀/서울 몽촌토성85 - 3. 88-4호 주거지/ 높이 (오른쪽)8.4cm /서울大學校博物館
손잡이잔(把杯)
百濟5世紀/서울 몽촌토성 85-2호 토광묘/ 높이 8.1cm /서울大學校博物館
쌍단지(雙短頸壺)
百濟5世紀/서울 석촌동86 - 5호 / 주변 높이 5.6cm /서울大學校博物館
세발대야(三足盤)
百濟5世紀/서울 몽촌토성 85-2호 토광묘/ 지름(오른쪽)27.8cm /서울大學校博物館
겹아가리단지(二重口緣壺)
百濟4 - 5世紀/ 출토지 모름 . 서천 오석리8호/ 높이(오른쪽)21.3cm /圓光大學校 . 公州大學校
네꼭지단지(四瘤附壺)
百濟4世紀/ 공주 남산리/ 높이 26.0cm /國立公州博物館
그릇받침(器臺)
百濟6世紀/ 공주 송산리/ 높이 69.0cm /國立公州博物館
그릇받침 . 항아리와 그릇받침(器臺 . 壺 . 器臺)
百濟6世紀/ 논산 연산/ 높이(오른쪽)46.5cm /國立公州博物館 (박만식 기증)
굽다리단지(臺附壺)
百濟6世紀/ 논산 연산 / 높이cm /國立夫餘博物館
굽다리단지(臺附壺)
百濟6世紀/ 해남 월송리 / 높이 /國立光州博物館
굽다리단지(臺附壺)
百濟6世紀/ 공주 봉안리/ 높이29.0cm /國立公州博物館
그릇받침(器臺)
百濟6世紀/ 부여 신리 / 높이76.0cm /國立夫餘博物館
그릇받침(器臺)
百濟6世紀/ 부여 신리 / 높이56.2cm /國立夫餘博物館
參考資料 : 韓國古代의 土器
'백제시대(百濟時代) > 백제 유물(百濟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 한성시대 민락동유적(議政府市 民樂洞遺跡) (0) | 2009.09.25 |
---|---|
2 . 백제 토기 각종 (百濟 土器 各種) (0) | 2009.09.17 |
백제 토기의 특징 (百濟土器 特徵 ) (0) | 2009.09.17 |
백제 토기의 정의(百濟土器 定義) (0) | 2009.09.17 |
칠지도(七支刀) (0) | 200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