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뿔잔의 형태가 처음 보인 시기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인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에서 출토된 뿔모양의 토기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크기가 10cm 전후이며, 그릇의 모양이 통통하여 이후 삼국시대에 보이는 뿔잔과는 약간 다른 형태이며 정확히 어떠한 용도의 그릇이었는지도 불분명합니다.
쇠뿔모양 토기 (牛角形土器)
新石器時代/釜山 東三洞貝塚 / 高5.0cm 國立中央博物館
뿔잔은 원래 짐승의 뿔을 잘라 용기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출발하여 점차 토기로 만들어 지게 되었으며, 간혹 칠기나 청동, 금동제의 것도 이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형태의 뿔잔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삼국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인 천마총에서 칠기제 또는 금동제의 각배형용기와 함께 20개의 쇠뿔이 실물로 출토되어 우리의 뿔잔이 북방 유목계 민족들이 사용하였던 원래의 뿔잔에서 유래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삼국유사」에는 신라 제 4대왕인 석탈해가 아직 왕위에 오르지 않았을 때 토암산에서 내려오면서 심부름꾼을 시켜 마실 물을 떠오게 하였는데 심부름꾼이 몰래 먼저 물을 마시자 뿔잔(角盃)이 입에 붙어 떨어지지 않아 이를 꾸짖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에 이미 실제 뿔로 만든 잔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토기 또는 청동 . 금동 . 칠기제의 뿔잔은 출토지가 알려진 것이 그리 많지 않지만, 대체로 경주를 중심으로 신라에 편입되어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았던 김해 . 부산 . 창녕 . 달성 등지에서 출토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뿔잔(角杯)
新羅6世紀/慶州 月城路 가11-1號/아가리지름6.5cm/國立慶州博物館 所藏
뿔잔(角杯)
新羅5世紀/출토지모름/아가리지름5.3cm/崇實大學校博物館 所藏
뿔잔(角杯)
新羅 . 伽倻 5世紀/출토지모름 . 馬山 현동50號 /아가리지름(아래)14.5cm/國立中央博物館 . 昌原大學校 所藏
뿔잔(角杯)
新羅 . 伽倻 6世紀/慶州 냉수리石室墳 /아가리지름10.5cm/國立慶州博物館 所藏
이러한 뿔잔에도 여러 가지의 모양이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형태로는 단순히 뿔의 모양을 흉내내어 만든 것과 잔의 바로 아래에 좁은 문양대를 두른 것이 있으며, 이러한 단순한 뿔 모양의 것은 바로 세워 놓을 수가 없기 때문에 끼워 놓을 받침이 필요함에 따라 만들어졌을 받침은 굽다리모양토기의 접시부분에 구멍을 뚫어 끼우게 만든 것과 고리를 만들어 끼운 것, 굽다리 위에 수레모양의 용기를 만들고 옆면에 구멍을 뚫어 끼운 것, 굽다리에 납짝한 판을 붙이고 그 위에 고리를 만든 것, 꽃모양의 접시바닥에 고리를 만든 것 등이 있습니다.
뿔잔과 뿔잔대(角杯 . 角杯臺)
新羅5世紀/출토지모름/아가리지름20.8cm/湖巖美術館 所藏
뿔잔과 뿔잔대(角杯 . 角杯臺)
新羅 5世紀/미추왕릉 C지구7號 /아가리지름6.3cm/國立慶州博物館 所藏
뿔잔과 뿔잔받침(角杯 . 角杯臺)
新羅 5世紀/출토지모름 /높이23.7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뿔잔과 뿔잔받침(角杯 . 角杯臺)
新羅 5世紀/동해 구호동5號 /높이20.2cm/ 江原大學校博物館 所藏
위와는 달리 굽다리 위에 바로 뿔잔을 붙인 형태도 있으며, 굽다리 위에 동물 등을 만들고 그 위에 뿔잔을 붙인 형태도 있습니다. 또한 동래 복천동1號墳에서는 뿔 끝부분에 말머라를 조각한 뿔잔 한쌍이 출토되어 독특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사산조 페르시아나 중국 등지에서 비슷한 형태가 나와 뿔잔의 문화적 연원을 추정하는데 좋은 자료가 됩니다. 이외에도 경주 금관총과 창녕 교동에서는 끝이 짤린 특이한 형태의 청동제 뿔잔이 출토된 바 있습니다.
뿔잔(臺附角杯)
新羅 5世紀/동해 구호동5號 /높이21.8cm/ 江原大學校博物館 所藏
자라장식뿔잔(臺附龜裝飾角杯)
新羅5世紀/출토지모름/아가리지름22.0cm/湖巖美術館 所藏
이 뿔모양 잔은 잔의 끝부분에 말머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사산조 페르시아나 중국 등지에서 이와 비슷한 형태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부산 복천동 1호무덤에서 한 쌍이 출토되었으며, 東亞大學校博物館과 國立中央博物館에서 각각 1점씩 所藏하고 있습니다. 그 중 1점으로 보물 598호입니다.
뿔잔(角杯)
伽倻5世紀/釜山 福泉洞1號墳 /높이 cm/ 동아대학교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말장식뿔잔(臺附馬裝飾角杯)
伽倻5世紀/출토지모름/높이24.4cm/東亞大學校 所藏
청동뿔잔(靑銅角杯)
新羅5世紀/昌寧 校洞7號 /아가리지름10.1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신라시대(新羅時代) > 신라 유물(新羅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토기 변천Ⅰ (新羅土器 變遷) (0) | 2009.09.08 |
---|---|
신라 . 가야 토기의 발생 (定義 . 古式陶質土器) (0) | 2009.09.08 |
뿔잔의 기원과 정의 (0) | 2009.09.06 |
신발모양토기(履形土器) (0) | 2009.09.06 |
수레모양토기(車形土器) (0) | 200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