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식토우는 신라토기에서 가장 많이 보이며, 비교적 이른 시기에 신라에 복속되거나 영향 아래에 있던 가야 낙동강 동안에서 약간의 예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토기에 장식적인 토우를 붙이는 전통은 신라에서 발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뿔잔이나 상형토기가 같은 분포권을 나타내고 있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한 점입니다. 신라에 장식토우가 붙은 토기는 대체로 6세기경의 토기에서 많이 보이는 데, 이러한 현상은 「三國史記」에 지증왕(智證王)이 즉위 3년(502년)에 딸려묻기(殉葬)를 禁止한 기록이나 이 후에 보다 활발해진 영토의 확장과 같은 시대적 배경에 연유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됩니다.
신라의 장식토우는 그 형태가 매우 간략하고 소박하지만 필요한 경우 성기와 같이 기원하고자 하는 목적과 관련된 부분은 과장하여 만들었으며, 당시의 의복과 생활모습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어 신라의 풍속, 복식, 신앙 등의 연구에 많은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장식토우는 인물과 동물로 구분되는데, 인물토우는 사실적인 묘사로 冠이나 衣服은 정확하게 표현하였으나, 신체의 어떤 부분은 과장하거나 과감히 생략하였음에도 감정을 잘 표현한 모습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동물토우도 인간의 삶과 직접 연관되는 것들로서 작고 세밀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나타내고자 하는 특성을 사실적으로 잘 표현하였습니다.
인물상는 우선 신체적인 특징으로 남녀의 구분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여자는 특히 유방이나 엉덩이 또는 임신한 모습 등을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자는 남자보다 크게 표현되었으며 신체의 여성적인 부분을 강조한 대신 머리장식 등이 거의 없습니다.
이에 비하여 남자상은 수량도 훨씬 많고 그 모습도 다양하며 과대하게 표현된 성기를 노출시키고 있는 것이 많습니다. 또한 冠帽의 흔적이나 상투같이 뾰족한 머리장식을 보이고 있으며, 얼굴 모습도 큰 코나 유난히 두드러진 귀 등이 붙어 있기도 합니다.
한편 남녀가 함께 표현된 경우 여러가지 형태의 성애상이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특히 풍부한 인구생산력을 기원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사냥하는 모습의 남자 등의 모습에서는 활과 화살, 화살통 등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장식토우에 나타난 동물에는 개 . 말 . 소 . 맷돼지 . 호랑이 . 사슴 . 토끼 . 새 . 오리 . 닭 . 뱀 . 게 . 개구리 . 물고기 . 거북 . 불가사리 등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이러한 동물들 중에서 게나 불가사리는 재생 또는 부활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보이며, 맷돼지와 사슴은 당시의 주요한 사냥감이었기 때문에 사냥의 풍성함을 기원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거북은 장수를 기원하는 뜻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동물도 간략하지만 특징을 잘 표현하는 수법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법은 쫑긋하게 세운 귀와 긴 혀를 가진 개, 날카로운 주둥이나 등줄기가 잘 표현된 맷돼지, 말갖춤이 갖추어진 말, 긴 목을 가진 사슴, 둥근 반점이 그려진 표범, 줄무늬로 표현된 호랑이, 둥글게 움츠린 거북, 비늘까지 표현된 물고기 등에서 엿 볼 수 있습니다. 한편 뱀은 대부분 개구리 또는 두꺼비의 뒷다리를 물고 있는데 이는 서로 상극인 동물의 특성을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장식토우 외에 신라 토기의 표면에는 귀걸이의 달개와 같은 하트모양의 장식이 붙은 예가 있는데, 주로 오리모양의 토기나 굽다리접시, 목단지 등에서 보이며, 단순히 그릇을 꾸미는 역활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외에 백제와 가야의 그릇받침에는 단순한 장식을 목적으로 한 고사리 모양의 장식이 부착된 그릇밭침이 보입니다. 한편 백제의 토기에는 예가 많지는 않지만 토기의 손잡이를 말이나 다람쥐와 같은 동물모양으로 만든 것도 있으며, 여러개의 곱은옥 모양을 붙인 것도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도 장식토기의 일종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신라의 장식토우부토기(裝飾土偶附土器)로 대표되는 장식토기는 원래 그릇의 기능을유지한 채 부수적인 뜻을 나타내고자 만들어진 것이지만,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에는 그릇의 기능이 없는 인물이나 동물 모습의 토용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1.長頸壺의 목부분에 개구리의 뒷다리를 물고 있는 뱀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3곳에 오리를 그리고 그 사이사이에 性器를 강조한 男子, 새, 거북. 伽倻琴을 타는 사람 後背位 性行爲의 男女 물고기 . 토끼 등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多産 풍요 등의 呪述的 의미가 있습니다.
토우장식목항아리<土偶裝飾長頸壺>
新羅 /慶州 鷄林路 30號墳 /높이34cm/國寶195號/國立慶州博物館
토우장식목항아리의 細部
<배가 볼록한 것으로 보아 임신한 여인이 가야금을 타는 모습으로 생각됩니다.>
토우장식목항아리의 細部
<後背位 性行爲의 男女 모습 남자의 머리는 유실되었습니다.>
토우장식목항아리의 細部 <개구리다리를 물고 있는 뱀>
2 . 長頸壺의 목부분에 개구리의 왼쪽 다리를 물고 있는 뱀이 대칭으로 배치되었고, 그 사이에는 오른손에 性器를 잡고 있고 왼손에 몽둥이 같은 것을 들고 있는 男子가 묘사되었습니다. 多産 풍요 등의 呪述的 의미가 있습니다.
토우장식목항아리<土偶裝飾長頸壺>
新羅 /慶州 鷄林路 30號墳 /높이34cm/國寶195號/國立慶州博物館
2의<細部>
2의<細部>
3 . 손을 들고 男根을 크게 나타낸 人物, 허리를 낮게 꺾어 엉덩이를 잔뜩 치켜 올려 엎드린 姿勢의 女子 그 뒤에 떨어져 나갔을 남자의 흔적, 뚜껑 꼭지를 불들고 서있는 男子 등 3명이 描寫되어 있습니다.
<人物土偶裝飾高杯蓋>
新羅 /慶州 皇南洞 11號墳 /높이8.4cm/梨花女子大學校博物館
3 - 1(3의 細部)
3 - 2 (3의 細部)
4 . 性行爲中인 男女를 묘사하였습니다. 오른손으로 머리을 받치고 왼손은 아래로 내려 남자의 오른 팔목을 잡았고,
女子의 얼굴과 身體의 세부가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남자의 머리부분이 缺失되었고 女子에 비해 작게 만들었습니다.
성교중인 남녀(性交男女)
新羅 /慶州 皇南洞 /높이6.1cm/國立中央博物館
5 . 누워있는 여자는 얼굴 등의 세부묘사가 되어있지 않고 위에 겹쳐있는 남자는 머리가 缺失되었습니다.
남여의 性器描寫가 과대합니다.
성교중인 남녀(性交男女)
新羅 /慶州 皇南洞 /높이6.4cm/國立中央博物館
6 . 남녀가 껴안고 누운 자세이며, 男子의 왼발이 결실되었습니다. 여자의 머리는 납짝한 扁頭입니다.
성교중인 남녀(性交男女)
新羅 /慶州 皇南洞 /높이6.2cm/國立中央博物館
7 . 高杯 뚜껑 위에 성행위중인 남녀가 묘사되었습니다. 여자의 머리와 男根의 일부가 결실되었습니다.
女子는 무릎을 접고 뒤로 누웠으며, 男根이 揷入된 모양을 묘사하였으나 男子의 모습은 없어졌습니다.
성교중인 남녀(性交男女)
新羅 /慶州 皇南洞 / 길이4.1cm/國立中央博物館
<性交 中의 여러 토우모습>
8 . 乳房을 강조하는 한편 불거진 아랫배 크게 열린 陰部와 눈 및 입을 확장하거나 크게 묘사하는 점 등은 진통을 겪는 産婦의 모습을 여실히 보이는 出産의 場面을 表現한 것으로 보입니다.
출산중인 여인(出産中인 女人)
新羅 /慶州 皇南洞 / 길이7.8cm/國立中央博物館
9 . 양발을 벌리고 男性을 크게 강조한 人物像이 묘사되었습니다. 귀가 크고 입 . 코 . 눈이 뚜렷하며 왼팔 일부는 결실되었습니다.
성적 특징이 강조된 토우 - 남자(男子)
新羅 /慶州 皇南洞 / 높이3.8cm/國立中央博物館
10 . 乳房이 뚜렷하게 강조되었고 生殖器를 크게 묘사하였습니다. 눈은 가늘게 뜨고 입은 크게 벌린 모습에 왼팔은 들고 오른팔은 내려서 배를 향하고 있습니다. 감각적 모습입니다.
성적 특징이 강조된 토우 - 여자(女子)
新羅 /慶州 皇南洞 / 높이6.8cm/國立中央博物館
11 . 姙娠한 女子가 배를 만지고 있고 性器는 크게 벌어져 있어서 出産이 임박하였음을 잘 描寫하고 있습니다.
출산중인 여인(出産中인 女人)
新羅 /慶州 皇南洞 / 높이5.6cm/國立中央博物館
12 . 性的 특징이 강조된 여러 인물토우
13 . 琵琶를 들고 演奏하는 人物로서 머리는 幞頭을 쓴 것 같이 표현하고 왼손에 비파를 들고 오른손으로 鉉을 뜯는 모습인데 비파를 연주하는 모습은 다른 토우에서는 불 수 없었습니다.
비파를 연주하는 인물토우(奏樂土偶)
新羅 / 높이12.0cm/國立慶州博物館
13 . 상투를 틀었고, 아래턱에 수염이 있는 老人의 얼굴입니다. 상투 좌우에 작은 구멍이 貫通되었습니다. 귀가 크고 광대뼈가 불거지고 눈은 부드럽고 반쯤 벌어진 입가에는 웃음이 서렸습니다.
영감얼굴(老人)
新羅 / 높이9.8cm/國立中央博物館
14 . 男子는 고깔모자를 쓰고 양 팔을 가슴에 모으고 서 있는 자세이며, 바지에 線을 그어 裝飾하였습니다. 女子는 남자에 비해 작으며, 양 팔을 허리춤에 올리고 서있는 姿勢입니다. 치마는 주름치마를 나타낸 듯 線을 그었습니다.
손을 앞으로 모은 부부토우(夫婦土偶)
新羅 /慶州 皇南洞 / 높이왼쪽 8.2cm, 오른쪽5.3cm/國立慶州博物館
15 . 화살통을 등에 멘 채 멧돼지를 향하여 활시위를 당기고 있는 猪獵場面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화살통과 활은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나 사람은 단순하게 만들어서 사냥인상을 강하게 느끼게 합니다. 사냥꾼 뒤에는 侍從이 있고 그 앞에 어미와 새끼 멧돼지가 있습니다.
(아래 위의 細部)
토우장식굽다리접시<土偶裝飾高杯>
新羅 /東垣寄贈品 /(盃身)높이20.3cm (활을 잡고 있는 인물)高8.8cm/國立中央博物館
16 . 죽은 사람 앞에 꿇어 앉아 슬퍼하는 모습입니다. 죽은 사람 얼굴에 천이 덮여 있으며, 슬퍼하는 인물은 아마도 남편의 죽음을 슬퍼하는 女子로 보입니다.
죽검 앞에서 슬퍼하는 여인
新羅 /慶州 皇南洞 / 높이3.2cm/國立中央博物館
16 . 各種 獨立 人物土偶 입니다.
<各種 토우의 형상들>
< 參考 : 國立中央博物館 . 國立慶州博物館 >
'신라시대(新羅時代) > 신라 유물(新羅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형토기(像形土器) (0) | 2009.09.04 |
---|---|
토우(動物) (0) | 2009.08.31 |
청동십이지신상 (靑銅十二支像) (0) | 2009.07.28 |
청동12지신상 저울추(靑銅十二支像錘) (0) | 2009.07.28 |
소조 12지신 중 호랑이( 塑造12支神 中 辰) (0) | 2009.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