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허리 띠(帶鉤)

鄕香 2009. 7. 24. 10:55

 

 대구(帶鉤)는 가죽이나 천으로 된 허리띠의 양 끝을 걸어 고정시키는 금속구로, 허리띠의 한 끝을 고정하는 돌기와 허리의 둘러진 띠의 다른 끈을 거는 고리가 기본구성요소입니다. 청동제가 많지만 청 . 금 . 은 . 옥으로도 만들어지며 드물게는 상감이나 도금으로 표면을 장식한 것도 있습니다. 그 모양새는 곡봉형(曲棒形), 비파형(琵琶形), 마형(馬形), 호형(虎形) 등 다양하며 한반도에서는 초기철기시대부터 삼한시대까지의 유적에서 출토됩니다.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대구는 漢나라에서 수입된 중국식과 북방문화의 영향에 의한 동물형으로 대별됩니다.  중국식은 평양의 王光墓 . 彩협塚 . 석암리(石巖里) 등 낙랑유적과 대동 상리(上里), 위원 용연동(龍淵洞) 등 평안도의 초기철기유적에서 출토되었으며, 동물형 대구(帶鉤)는 영천 어은동(漁隱洞) . 대구 비산동(飛山洞) . 경주 사라리(舍羅里) . 김해 대성동(大成洞) . 천안 청당동(淸堂洞) 청원 송대리(松垈里) 등의 삼한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것들이 대표적입니다. 이 가운데 어은동, 비산동. 대성동 11호에서 출토된 호형대구는 마형대구와 함께 우리나라의 청동기문화에 북방의 청동기문화가 일정한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하는 유물입니다.

 

 

 

 

 청동마형.호형대구(靑銅馬形虎形帶鉤)

原三國時代1世紀/경북 영천 어은동 출토/길이 20.5cm(馬形)22.4cm(虎形)/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청동호형대구(靑銅虎形帶鉤)

原三國時代1世紀/경북 대구 비산동 출토/길이 17.0cm/ 호암미술관 所藏

 

 

 

 

청동호형대구(靑銅虎形帶鉤)

原三國時代 1世紀/경주 사라리 출토/길이(上)15.8cm,(下) 22.8cm/ 영남매장문화재연구소 所藏

 

 

 청동호형대구(靑銅虎形帶鉤)

原三國時代 2世紀/  출토/길이 12.5cm/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청동마형대구(靑銅馬形帶鉤)

原三國時代 / 천안 청당동 출토/길이 14.4cm(右下)/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청동마형대구(靑銅馬形帶鉤)

原三國時代1世紀/ 충북 청원 송대리 9 .11號墳 출토/길이 6.3cm(右)/ 문화재보호재단 所藏

 

 

 

 

철재마형대구(鐵製馬形帶鉤)

原三國時代1世紀/ 충북 청원 송대리 53號 출토/길이 7.7cm/ 문화재보호재단 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