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유물( 遺物)

경상 (經床)

鄕香 2009. 3. 27. 14:49

 

 

경상은 우리 전통 가옥에서 책상의 용도로 사용된 서안(書案)의 일종으로서, 원래 사찰에서 스님들이 불경(佛經)을 읽을 때

사용하였으나, 적어도 16세기부터는 사랑방에서 서안으로도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서안이나 경상은 좌식(坐式) 생활에 맞도록 높이가 낮고, 책을 펼 수 있는 정도의 작은 크기였습니다.

그러나 경상은 서안과는 달리 천판(天板: 가구에서 가장 위의 면을 막아주며 마감하는 판) 양 끝이 두루마리처럼 감겨 올라가고

유연한 S자 모양의 다리가 달린 것이 특징입니다. 이 경상은 일반적인 경상보다 크기가 현저하게 작고 네 다리는 인동문 형태로 이루어 졌으며 4며의 雲板 가운데 前面은 3송이 연화와 화엽으로 구성된 節枝形 연화문이고 좌우 측면에는 소형의 여의두문을 투각하였습니다.

이 경상은 간조된 연화문 위주의 장식, 또 나즈막한 크기로 보건대 일반 私家보다는 사찰용으로 보여집니다.

 

경상(經床)

조선19세기/높이22cm,상판59.5cm×22cm/국립중앙박물관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