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도끼는 구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인류가 가장 장기간에 걸쳐 사용한 다목적용 석기입니다.
구석기시대에는 주먹도끼가 대표적으로 손으로 쥐는 부분은 둔탁하게, 그리고 사용 부분은 뾰족하게 만든 것이 그 기본형입니다.
주먹도끼로 발전하기 전까지는 날 부분만 적당히 다듬은 찍개가 사용된 바 있습니다. 신석기시대에는 납작한 강자갈로 만든 깬돌도끼(打製石斧)가 보편적으로 많이 제작 사용되었고, 또한 날 부분만 갈아서 다듬은 국부간돌도끼(局部磨製石斧) 또한 제작 사용됩니다.
이 외에 전면을 잔다듬으로 곱게 성형하고 날부분을 마연한 횡단면 장타원형의 간돌도끼(磨製石斧)도 많이 만들어집니다.
길이 30㎝ 이상되는 것으로 부장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간돌도끼는 나무자루에 직각으로 결박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 됩니다.
청동기시대에는 간돌도끼가 보편적으로 보다 많이 사용되고 그 종류도 다양하여지는데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간돌도끼로의 가장 많은 예는 조개날도끼(合刃石斧)라 부르는 조갯날에 단면 타원형의 간돌도끼로서, 무덤유적에서 발견된 예는 거의 없고 그 대부분이 집자리나 패총 등지에서 발견됩니다. 이들 청동기시대 간돌도끼는 사용방식에 따라서 가로도끼(橫斧)와 세로도끼(縱斧)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가로도끼는 자루와 도끼 날이 평행을 이루는 것이고, 세로도끼는 직교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논과 밭의 경작지 개간이 활발하여지면서 간돌도끼도 이 용도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단면 방형의 자루에 홈을 파고 나무자루를 결박한 외날의 홈자귀(有溝手斧)가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에 걸쳐 농경굴지구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철기가 보급되면서 돌도끼가 급격히 사라지게 됩니다. 이 간돌도끼의 경우 육중한 몸체에 양날을 다듬은 조개날 석부의 형태입니다.
돌도끼 (磨製石斧)
한국(韓國)-신석기(新石器) / 석(石) 길이 : 13.7 cm / 경기도(京畿道) 하남시(河南市 출토 / 慶熙大學校博物館所藏
'선사(先史) > 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리(櫛文土器, Bowl) (0) | 2008.11.21 |
---|---|
돌도끼 (磨製石斧) (0) | 2008.04.24 |
돌도끼 (磨製石斧) (0) | 2008.04.24 |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片) (0) | 2008.04.23 |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片) (0) | 200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