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에 곡식의 낟알을 거두어들이는 데 쓰던 도구의 일종이며 한반도 전역에 걸쳐 출토되고 있습니다.
반달칼의 한복판에나 혹은 등쪽으로 약간 치우친 곳에는 보통 1개 내지 2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 사이에 끈을 꿰어 끈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 사용하였습니다. 전체적인 형태와 날부분과 등부분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반달 모양으로 생긴 것이 많으나 형태는 다양하여 고기모양(魚形), 배모양(舟形), 세모꼴(三角形), 긴네모꼴(長方形), 빗모양(櫛形) 등 여러 가지가 있고
지역에 따라 생김새에 차이가 나타납니다. 날의 형태도 한쪽에만 날을 세운 것과 양쪽을 갈아 만든 것이 있으며, 주로 청동기시대에 많이 쓰여졌는데, 지금까지 드러난 한국 청동기시대의 집자리 유적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반달돌칼이 나왔으며 그것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대표적인 유물에 속합니다. 한국에서 이처럼 반달칼이 많이 확인되는 사실은 당시 사람들의 생산활동에서 농업의 비중이 컸다는 것을 말하여 줍니다. 반달돌칼은 돌낫(石鎌)과 함께 청동기시대 후기까지 주요 수확구로서 계속 사용되었으나 초기철기시대에 이르러 철제반달칼, 철제낫 등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이 반달돌칼은 모래돌을 소재로 만들었으며 그 모양이 청동기 시대의 가장 전형적인 돌칼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형태는 반달모양으로 등 부분 가까이에 끈을 꿰어 사용했을 2개의 구멍이 뚫려 있고,
날의 형태는 한쪽에만 날을 갈아 세웠는데, 오래 사용했던 때문인지, 날이 무디고 군데군데 이가 나 있습니다.
반달돌칼 (半月形石刀)
한국(韓國) 청동기(靑銅器) / (京畿道 河南市) 출토 / 사암(砂岩) 구멍지름(徑) 0.6cm, 길이(長) 16.9cm / 慶熙大學校博物館所藏
'선사(先史) >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과 (銅戈) (0) | 2008.04.24 |
---|---|
간돌턱자귀(有段手斧) (0) | 2008.04.24 |
반달돌칼 (半月形石刀) (0) | 2008.04.24 |
토제가락바퀴 (土製紡錘車) (0) | 2008.04.24 |
가락바퀴 (紡錘車) (0) | 2008.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