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백제 한성시대 유물 1〔 漢城時代 夢村土城發掘遺物 <高杯 . 三足土器>]

鄕香 2006. 4. 10. 14:39

 

몽촌토성은 외형상 해발 30~40m 가량의 나지막한 야산처럼 보이는데 그 규모는 南北 길이 730m, 東西 길이 540m 가량이고 평면형태는 남북으로 길쭉한 타원형 또는 마름모꼴을 하고 있습니다. 토성의 성벽은 기저부의 폭이 30~50m 가량 되고 성벽의 높이는 각 지점별로 차이가 있으나 15~17m 가량 되며, 성벽은 입자가 곱고 점성이 강한 점토를 이용하여 두께 5~10m 단위로 얇게 펴서 다진 판축공법에의해 축조되었습니다. 이러한 판축공법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중 백제에서 주로 사용된 공법으로 고대의 각종 건축의 기초에 사용되었습니다. 한편 경사가 완만한 지점은 부분적으로 삭토하여 경사를 급하게 하였으며, 서북쪽 일부에는 목책을 사용하여 성벽을 보강하였습니다. 토성의 서쪽과 북쪽, 동북쪽 일대는 인근 성안의 하천과 이어지는 해자를 설치하여 회부로부터의 접근이 어렵도록 하고 있습니다. 

성내부에서는 땅을 30cm 가량 파고 만든 움집이 12기가 확인되었고 단면이 복주머니모양을 한 저장공이 30개소 확인되었습니다.

이들 움집과 저장공은 평상시에는 일상의 주거시설과 저장시설로 사용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들 시설물들이 대부분 성벽의 정상부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규모나 출토유물로 보아 일상생활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어 성의 수비와 관련된 시설들로 추정되기도 합니다. 

한편 1989년 6차조사에서는 온돌시설의 건물지, 판축대지, 장방형건물, 적심건물지 등의 지상 건물지가 발견되어 중용한 유구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또한 인위적으로 조성된 연못이 2개소 발견되었습니다. 

출토유물은 매우 많은데, 굽다리잔류, 세발토기류, 깊은 바리류, 목단지류, 시루류, 발달린 항아리류, 그릇받침류 및 각종 항아리와 단지류 등 백제토기류입니다. 

한편 1988년의 조사를 통하여 네귀 달린 목단지를 비롯한 고구려토기들이 확인되어 몽촌토성이 고구려 남하 직전까지 백제의 중요 거성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몽촌토성은 그간 초기 백제의 도읍인 하남 위례성으로 비정되기도 하였습니다. 발굴조사를 통하여 궁궐지나 관아지가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최근의 조사결과와 같이 대형 지상건물의 존재, 연화문와당 등 각종 기와류의 존재 및 중국제 청자벼루의 출토 등에서 몽촌토성 거주 집단의 성격의 일단을 엿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 몽촌토성이 백제 초기의 중요 거성의 하나였음은 분명하다고 하겠습니다.   

 

 몽촌토성 적심건물지<夢村土城 摘心建物址> 전경(1989년)  

 

 몽촌토성 남문지<夢村土城 南門址> 부근 연못 노출전경(1989년)

 

 몽촌토성<夢村土城> '87 - 10호 저장공 유물 출토상태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10호 저장공/ 구경13.6cm,높이7.6cm,저경9.4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10호 저장공/ 구경13.6cm,높이7.8cm,저경10.2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NE6-6/ 높이5.0cm,저경8.7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2호 주거지/ 구경10.8cm,높이5.5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10호 저장공/ 구경13.0cm,높이6.2cm,저경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3호 저장공/ 구경11.1cm,높이5.6cm,저경6.9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7 - 폐기장 / 구경11.7cm,높이7.2cm,저경10.4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NE6/ 구경13.3cm,높이6.7cm,저경8.9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7 - 성벽/ 구경13.3cm,높이7.8cm,저경9.4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NE6-17/ 구경11.5cm,높이6.3cm,저경8.2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7 - 1호저장공/ 구경11.2cm,높이7.1cm,저경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7 - 1호저장공/ 구경12.3cm,높이7.6cm,저경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4호저장공/ 구경13.5cm,높이7.2cm,저경9.0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8 - 3호저장공/ 구경12.8cm,높이5.0cm,저경9.0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8 - 1호저장공/높이5.4cm,구경14.3cm/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SW20-9/ 구경14.5cm, 높이6.8cm /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10호저장공/ 구경13.2cm,높이6.7cm /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8 - 4호 주거지 / 구경11.7cm,높이6.6cm /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8 - 4호저장공/ 구경11.9cm,높이5.6cm /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SE1 - 10/ 구경12.9cm,높이6.6cm /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2호토광묘/ 구경14.0cm,높이7.3cm /

 

 

 굽접시(高杯)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2호토광묘/ 구경13.0cm,높이6.5cm,/

 

 세발토기(三足器)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7- 1호 주거지/ 구경15.3cm,높이11.0cm,저경cm/

 

 세발토기(三足器)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10호 저장공/ 구경13.4cm,높이6.0cm,저경cm/

 

 

 

 세발토기(三足器)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8 - 6호 저장공/ 구경24.6cm,높이10.5cm,저경cm/

 

 세발토기(三足器)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2호 토광묘/ 구경29.5cm,높이9.0cm,저경25.0cm/

 

 세발토기(三足器)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2호 토광묘/ 구경28.5cm,높이8.3cm,저경23.0cm/

 

 세발토기(三足器)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2호 토광묘/ 구경28.0cm,높이8.7cm,저경21.3cm/

 

세발토기(三足器)

백제 한성시대 / 몽촌토성 85 - 10호저장공/ 구경25.0cm,높이8.7cm,저경cm/

 

 

 

 

 

 <參考資料 : 서울大學校 發掘遺物圖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