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작은 공양탑(靑銅 小塔)

鄕香 2008. 1. 29. 10:02

 

사각형을 여러 층으로 쌓아올린 방형다층누각(方形多層樓閣) 형태의 공양탑은 고려시대에 특히 많이 제작되어 현재까지 다 수 남아 있으며, 건물 내에 안치되어 불교용구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공양탑은 기단부(탑신을 올려놓는 기초)와 9층의 탑의 몸체가 선처럼 가늘게 생긴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붕골도 표현되어 있고, 기단부에서 탑으로 오르는 계단 양 옆에는 인왕상(仁王像: 수호신 가운데 하나로 금강역사(金剛力土)라고도 하며 문을 지키는 수문장 역할을 함)이 있습니다. 1층에는 불상으로 생각되는 여래좌상과 그것을 좌우에서 지키는 금강역사가 있습니다.

 

 

작은 공양탑(靑銅 小塔)

고려(高麗) /  청동제(靑銅製) / 국립중앙박물관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