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의 제작으로 추정되는 목판본의 서울 지도로, ′수선(首善)′이란 서울을 뜻하므로 ′수선전도(首善全圖)′는 ′서울전도′라는 뜻이지요. 『한서漢書』의 「유림전(儒林傳)」에 ″건수선자경사시(建首善自京師始)″, 즉 으뜸가는 선(善)을 건설함은
서울에서 시작된다고 한 데에서 나온 말입니다.
이 지도는 지도의 내용과 구도 및 필치로 보아 김정호의 <청구도(靑邱圖)>에 단독으로 들어가 있는 서울 지도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여겨지며, <수선전도>의 산지와 나무 표시는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와 <청구도>를 결합시킨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경복궁(景福宮)과 창덕궁(昌德宮), 그리고 백악(白岳)을 비롯한 네 산의 나무 표현은 <청구도>와 매우 비슷합니다.
목판본(木版本)인 <수선전도>는 정교하게 서울을 그린 지도인 동시에 판화(版畵)로서도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며, 지도의 축척은 성 안에서는 균일하나 성 밖에서는 소축척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이러한 지도의 표현 방법은 영조, 정조대에 제작된 도성도(都城圖)의 방법을 그대로 좇은 것으로, 좁은 지면에 넓은 주변 지역을 간략하게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도성 밖의 여러 사물의 위치와 거리를 왜곡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수선전도(首善全圖)
한국(韓國) 《18세기 중반》/ 종이(紙) 도곽 101×74cm, 최대규격 163×92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서책 (文.書.帖.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성도(都城圖) (0) | 2007.05.25 |
---|---|
유구국도(琉球國圖)천하지도 (0) | 2007.05.25 |
전라도무장현도(全羅道茂長縣圖) (0) | 2007.05.25 |
* 심성에 대해 풀이한 그림(心性錄撮要五圖) (0) | 2007.05.25 |
관혼상제 의례용 참고서(四禮便覽) (0) | 200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