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추사 김정희 필 산수도(秋史金正喜筆山水圖)

鄕香 2007. 4. 25. 20:27

 

김정희(1786-1856)의 자는 원춘(元春), 호는 추사(秋史). 완당(阮堂) 등을 사용하였습니다.

학문과 예술에 뛰어났고 특히 추사체라는 독특한 서체(書體)를 창안하여 천하에 이름을 날렸습니다.

또 금석학(金石學)과 실학(實學)에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24세에 중국에 가서 중국의 옹방강(翁方綱) 등 유명한 석학들과 교유하며 학문과 서법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습니다. 또 그림과 글씨에서 문기(文氣)를 중시하여 격조 있는 문인화(文人畵)의 세계를 지향하였습니다. 그의 그림은 많지 않으나, 필치가 호방하면서도 문기가 배어있습니다.

또 불교에서 말하는 선미(禪美)가 어울어져 동양 문인화의 정신이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그림의 윗편에는 당인(唐人)의 시의(詩意)를 빌려 등불 아래서 그렸다'는 제(題)가 적혀 있습니다.

당인의 시의를 그렸다면 시정적인 분위기와 낭만적 기풍이 있어야 하는데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분위기가 반영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그릴 때 표현하고자 한 화의(畵意)가 화제(畵題)를 잘 따르고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즉 화면에 나타난 결과는 그와 반대로 약간 거칠고 메마른 느낌을 주어 눈길을 끕니다. 이러한 효과는 갈필(曷筆)에서 연유한 듯합니다.

 

 추사  김정희 필 산수도(秋史金正喜筆山水圖)

朝鮮時代 / 紙本淡彩 46.1×25.7cm/ 國立中央博物館 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