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우리가 남한산성이라 하면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신한 조선시대의 산성으로만 생각하기 싶지만, 남한산성은 조선시대 뿐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천연의 요새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곳입니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2년(672년)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기록도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몽고의 침입을 격퇴한 곳이기도 하고 일제 강점기에는 항일운동의 거점이 되기도 한 곳입니다. 그러나 남한산성은 주로 병자호란으로 인해서 가장 기억되는 산성인 것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조선 인조 14년(1636년)에 청나라가 침략해오자 인조는 이곳으로 피신하여 항전하였으나 왕자들이 피신해 있던 강화도가 함락되고 패색이 짙어지자 세자와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