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外國)/옛 그림.도자기(中國) 144

중국(中國)-송(宋) 백자 타호(白磁唾壺) 3점

백자 꽃 모양 타호(白磁花形唾壺) 이 타호는 꽃잎 모양의 입 둘레가 바깥으로 벌어진 형태이며 잎과 잎 사이에 불거진 잎맥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복부는 강하게 눌러 인화(印花)시켜 참외 모양으로 만들었고 바닥은 권족(圈足)형태로 밖으로 벌어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황색 침반이 퍼져 있는 상태로 접지면의 유약이 훑어져 있습니다. 中國-宋(12世紀) 陶磁器 / 高14.9cm, 口徑 13.4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백자타호(白磁唾壺) 이 타호는 경덕진요(景德鎭窯)에서 제작한 것으로, 입 둘레가 똑바로 세워져 있으며, 아랫부분과 연결된 부분이 옴폭 들어갔다가 모아져 내려왔고, 입 둘레에는 동일한 형태의 전지(纏枝) 국화 무늬가 전체에 오목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바깥쪽 바닥에는 유약이 훑어져 있습니다. 타호는 안..

중국(中國)-송(宋) 백자 병(白磁甁)

이 병은 정요(定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반구(盤口)에 어깨 부분이 풍만하며 평편한 바닥이다. 중국에서는 세구병(洗口甁)이라고 부른다. 육조 시기의 반구병(盤口甁)에 원류를 두고 있으며 형태가 비슷하나 더 깊다. 송대에 처음으로 세구병이 등장하며 원, 명, 청의 병(甁), 관(罐)에도 세구의 조형을 볼 수 있다. 유약의 상태는 매우 좋으나 어두운 편이다. 바닥 접지면의 유약을 훔쳐냈다. 백자 병(白磁甁) 중국-(宋)《12세기》/ 京畿道 開城 附近 출토 / 도자기(陶磁器) 입지름 9.7cm, 높이 34.8cm / 국립중앙박물관 백자 병(白磁甁)

중국(中國)-당(唐) 연리무늬 사발(練理文鉢)

연리무늬 사발(練理文鉢) 당대(唐代)에 시작된 일종의 예술 자기로 중국에서는 교태(絞胎)라고 부른다. 짙은 색과 얇은 편(片)의 백색 진흙을 원하는 형태로 기본을 만든 후 질그릇 틀[(陶範]에 눌러 형태를 만든 것으로 부드러운 색깔의 흙이 서로 엉겨 나무 나이테 또는 화강암의 무늬 형태가 나타난다. 이 사발은 당양욕요(當陽?窯)에서 제작한 것으로 곧은 입 둘레에 둥근 납작 바닥[平底]으로 입 둘레 부분을 제외한 몸 전체에 규칙적이고 질서 있는 대리석 줄무늬[練理紋]가 형성되어 있다. 입 둘레 부분만 흰색 유약이 입혀 있으며, 몸 전체는 흰색, 검은색, 옅은 갈색 등이 합쳐진 형태이다. ↑뚜껑 안쪽 모양 ↓ 발 ↓뚜껑 겉 모양 연리무늬 사발(練理文鉢) 中國-唐(8-9世紀) 陶磁器 / 高6.5cm, 徑12...

중국(中國)-당(唐) 청자 첩화 주전자(靑磁貼花注子)

장사요(長沙窯)는 당대의 악주요(岳州窯)를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 후에 백자에 채색을 하는 유하채회(釉下彩繪) 공예에 끼친 영향이 큽니다. 이 주전자는 연질의 바탕흙을 사용한 청자입니다. 짧은 입과 목, 풍만한 복부, 작은 손잡이, 넓은 바닥을 가진 형태이며, 손잡이와 귀에 두 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