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역대 왕릉

의친왕묘(義親王)

鄕香 2023. 5. 5. 23:20

 고종황제와 귀인 장씨의 사이에서 태어나신 의친왕(義親王, 李堈1877-1955)과 의친왕비 김씨(義親王妃 金氏1878-1964)의 합장 능이다. 의친왕께서는 고종28년(1891)에 의화군에 봉해지셨고, 고종황제4년(1900)에 의친왕에 책봉되셨다. 보빙대사와 특파대사의 임무를 수행하셨으며 미국에 유학을 하시기도 하였다. 고종황제10년(1906)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되셨고, 1919년에는 의병 활동을 지원하고, 비밀 결사 단체인 대동단에 가담하여 독립운동 전면에 나서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셨다. 1955년에 세상을 떠나시자 처음에는 화양리에 모셨다가 1965년에 서삼릉 경내로 천장하였고 1995년 다시 이곳으로 모셔왔다. 

 

의친왕비 김씨는 김사준(金思濬)의 따님으로 1893년에 의친왕과 혼인하여 고종황제로부터 7월 양위받으신 순종황제1년(1907)에 의친왕비에 책봉되셨다. 슬하에 자손 없이 1964년에 세상을 떠나셨다. 홍유릉 경내에 모셨다가 1995년에 의친왕릉을 천장할 때 의친왕과 함께 합장으로 모셨다. 

 

 

〈장명등長明燈〉

義親王 봉분 앞 장명등 옥개석 상부에는 연봉오리가 구슬 띠  무늬위에 올려져 있고 사각지붕 면에는 전주이씨 가문의 이화문장이 양각되어 있으며, 화창 아래 몸통 사면에는 각각 무궁화, 연꽃, 대나무, 난초꽃이 양각되어 있다. 허리부분 네 모서리는 마디무늬로 장식했고 사면에는 마름모 문양을 돋을새김 하였으며 그 아래 네 모서리에 다리가 표현되어 있다. 사각받침돌에는 네 모서리에 연꽃잎을 돌려 새겼다.

 

정면에는 바라본 장명등에는 德과 慈愛를 의미하는 연꽃이 양각되어 있고 좌우 뒷면과 다르게 臺脚 사이에도 전주이씨 紋章인 배꽃이 양각되어 있다.

 

 

義親王 ·  義親王妃 金氏 合封墳 

 

 

장명등 좌측면에는사군자의 하나로 氣槪를 의미하는  대나무가 양각되어 있다. 

 

 

장명등 우측면에는사군자의 하나로 지조를 의미하는  난초가 양각되어 있다.

 

 

의친왕 능침 정경 

 

 

무궁한 번영과 영화의 상징적 꽃 무궁화가 양각되어 있다.

 

 

장명등 각면에 양각된 무궁화, 연꽃, 대나무, 난초꽃이 양각되어 있는 것은 의친왕께서 생전에 나라를 사랑하시고 바친 절개와 충절을 상징하는 의미가 아닌가 싶다. 

 

2023년 5월1일  - 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