馬上才가 피로하는 각종 馬技를 스케치한 것으로, 예컨대 마상립(馬上立), 쌍기마(雙騎馬), 마상측립(馬上側立), 등양장신(鐙襄藏身) 등 각종 묘기가 피로되었습니다. 많은 倭人들이 우리나라 馬技에 경탄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등양장신(鐙襄藏身)
마상립(馬上立),
쌍기마(雙騎馬),
마상재(馬上才)
紙本淡彩 28.0×414.2cm /個人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산숙 유숙 필 범사도(惠山淑劉淑筆泛槎圖) (0) | 2011.12.30 |
---|---|
통신사 해설도(通信使解設圖) (0) | 2011.12.30 |
통신사행렬도(通信使行列圖) (0) | 2011.12.30 |
마상휘호도(馬上揮毫圖) (0) | 2011.12.30 |
숙종37년통신사행렬도(肅宗三十七年通信使行列圖) (0) | 201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