筒形의 長頸을 가진 병 모양에 손잡이(把手)와 注口를 붙인 형태의 주전자로써 胴體 표면에 고운 백토(白泥)로 突線狀을 일정한 간격으로 肩部에서부터 胴底部까지 일률적으로 縱線 방식으로 裝飾하여 器全體에 흑유를 입혀 燒成하였습니다. 섬세한 백색의 선에 반지르르한 검은 색의 釉의 견주어 보는 맛이 일품입니다. 灰白色의 胎土를 緻密함, 매끄러운 표면의 검은 광택은 단조롭고 중후한 깊은 맛이 있습니다. 底部의 안쪽은 깊게 파내어 밑에서 볼 때 높은 굽을 두었습니다. 두터운 口緣 內側 두 곳에 우묵한 홈(窪)凹 두어 덮개(凸)가 좌우로 돌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하였습니다. 우리나라 국립중앙박물관에도 고려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이와 같은 유물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중국 河南省 魯山段店窯, 寶豊窯, 山東省 淄博窯 등 址에서 이런 기법의 陶片이 출토되었습니다.
흑유퇴선문수주(黑釉堆線文水注)
北宋時代 (12世紀) 磁州窯 / 高20.2cm 徑14.5cm 口徑4.9cm 底徑13.6cm /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日本)
'외국(外國) > 옛 그림.도자기(中國)'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회어연문완(赤繪魚蓮文碗) (0) | 2010.12.16 |
---|---|
적회모란문완(赤繪牡丹文碗) (0) | 2010.12.15 |
백지철회어조문심발(白地鐵繪魚藻文深鉢) (0) | 2010.12.14 |
백지흑소락비백문호(白地黑搔落飛白文壺) (0) | 2010.12.14 |
백지흑소락새나비문베개(白地黑搔落鳥蝶文枕) (0) | 201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