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應元 1855(철종6)~1921) 조선시대의 서화가. 호는 소호(小湖). 그림은 난초를 잘 그렸으며, 특히 묵란(墨蘭)에 뛰어났으며, 글씨는 예서· 행서에 능하였습니다. 대원군 밑에서 그의 묵란을 代作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화면 우단에 치우쳐 바위에 난초를, 그리고 그 하단에는 세로로 길게 7언의 제시를 적고 있습니다. 화면 구도상 대련으로 제작된 것 중 한 폭으로 생각됩니다. 유려한 필선이나 多作한 때문인지 그림과 글씨 모두에서 일종의 매너리즘 경향마저 보입니다.
묵란도(墨蘭圖)
朝鮮時代 末期 / 金應元(1855~1921) /絹本水墨 187.9×34.0cm/ 金龍斗翁 寄贈文化財圖錄 /國立晋州博物館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연 양기훈 필 매상숙조도 (石然楊基薰筆梅上宿鳥圖 ) (0) | 2010.01.28 |
---|---|
긍원 김양기 필 응도 (肯園金良驥筆鷹圖 ) (0) | 2010.01.28 |
경암 김익주 필 초충영모어해산수첩(鏡巖金翊胄筆草蟲翎毛魚蟹山水帖 . 11幅 ) (0) | 2010.01.26 |
석연 양기훈 필 노안도 (石然楊基薰筆蘆雁圖) (0) | 2010.01.26 |
낙화화조십곡병풍<烙畵花鳥十曲屛風> (0) | 2010.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