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풍의 꾸밈새가 옛 형식을 지니고 있는 점에서도 중시되는 이 산수도소병풍은 일본 大和文華館에서 두 차례의 특별전을 통해 공개된 바 있습니다. 모두 열폭으로 되어 있으나 처음과 끝의 두 폭은 화면 바탕이 종이인데다가 필치가 그외 것들과 달라 다른 화가의 그림으로 판단되므로 둘을 제외한 8폭만이 일련의 작품입니다. 세로가 조금 길기는 하지만 각 폭은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두 폭식 대칭을 의식하여 그렸음이 분명합니다. 매폭 무개의 중심을 달리하여 한쪽에 치중된 구도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를 살필 때 자연스런 연결을 보여줍니다. 담백하고 맑은 먹색의 사용, 다소 싱겁게 느껴지는 단조로운 화면구성,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 고요가 짙게 깔린 時情어린 풍경 등 조선 그림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8폭의 산수는 봄부터 겨울까지를 나타낸 四時八景으로 보여지는데, 그림의 규모로 보아 元畵帖일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이 그림은 내용이나 필치, 구성, 즉 화풍에 있어서 조선 중기 회화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 그림과 연결지을 수 있는 그림들은 17세기 화가들에서 여럿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에 제작시기는 17세기로 비정이 가능하며 친연성이 큰 화가로는 李澄(1581~1674 이후)을 꼽게 됩니다. 이 8폭 중 처음과 끝 상단에 비교적 큰 朱文方印 '淸陰堂圖記'가 각기 찍혀 있어 이를 金尙憲(1570~1625)이 소장했던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 확실치는 않습니다.
산수도<山水圖(屛)>
朝鮮時代 17世紀前半 / 筆者未詳 / 絹本水墨 31.3×26.8cm / 國立中央博物館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연 양기훈 필 노안도 (石然楊基薰筆蘆雁圖) (0) | 2010.01.26 |
---|---|
낙화화조십곡병풍<烙畵花鳥十曲屛風> (0) | 2010.01.26 |
필자미상 심산귀로도(筆者未詳 深山歸路圖) (0) | 2010.01.26 |
전 허주 이징 필 수하백로도(傳虛舟李澄筆樹下白鷺圖) (0) | 2010.01.26 |
긍재 김득신 필 추계유금도(兢齋金得臣筆秋谿遊禽圖 1 . 2 )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