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百濟時代)/백제 유물(百濟遺物)

백제한성시대석촌동발굴유물(百濟漢城時代石村洞發掘遺物)

鄕香 2009. 10. 5. 21:31

 서울대학교박물관에 의하여 발굴조사된 사적 243호 석촌동고분은 뚝 모양의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만 해도 80기 이상의 고분(그중 石塚이 66기)이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잠실지구 유적조사단'에서 1974년 처음 발굴조사를 실시했을 때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은 3호 . 4호(적석총) . 5호분(봉토분)뿐이었습니다. 1983~1984년에 걸쳐 3호 . 4호분이 유적의 정비 . 복원 차원에서 발굴되었으며, 이 일대에 백제고분공원을 세운다는 계획에 따라 1986~1987년 조사지역을 확대시켜 1 . 2호분을 비롯한 여러 기의 토광적석묘, 석곽묘, 옹관묘, 토광묘 등의 새로운 유구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석촌동 고분군에서 보이는 묘제의 형태는 크게 적석총계통과 토광묘계통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밖에 봉토분이나 즙석봉토분, 화장유규 등이 있습니다. 적석총인 1호분은 남분과 북분이 결합된 쌍분으로 규모는 22.3m×12.8m×1.0m인데, 북분의 경우 상부 구조가 완전히 파괴되어 정확한 전체 구조를 밝히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방형의 석축을 쌓고 그 내부를 점토로 채운 형태입니다. 남분은 전형적인 고구려식 적석총으로 역시 상부가 파괴되어 전체 구조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잔존 석축 내부에서 석곽 4기가 조사되었습니다. 4호분 남쪽에 위치한 2호분은 규모가 17.4m × 16.2m × 3.8m이며, 석축을 축조하면서 점토로 채운 내부에서는 목관 1기가 조사되었습니다.   

 

3호분은 전형적인 고구려식 적석총으로 제 1단의 규모가 동서 50.8m, 남북 48.4m로. 중국 集安의 최대 적석총인 태왕릉과 거의 비슷한 규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는 3단까지 남아 있고, 원래 높이는 6m이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3號墳의 남쪽에 위치한 4호분은 8.7m × 8.7m × 2.0m 규모의 점토입방체를 석축이 사방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석축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다시 2단의 석축을 돌린 3단의 적석총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4호분의 전체 크기는 17.0m×17.0m입니다. 매장주체부로는 내부의 점토를 4.60m×4.60m, 깊이 1.0m 정도 파내고 연도가 달린 석실을 설치하였습니다.

 

한편 5호분은 봉토가 덮힌 형태를 티고 있는데 발굴되지 않았기 때문에 내부구조를 파악할 수 없었습니다. 1986년에는 3호분 동쪽지구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습니다. 여기서는 상층의 토광묘 . 옹관묘들과 그 아래층의 대형토광묘 등이 발굴되었습니다. 이 중 대형토광묘는 지금까 알려지지 않은 특이한 형태의 무덤양식인데, 제일 아래층의 점토층을 파내고 그 안에 여러 개의 나무널을 안치한 특이한 구조의 무덤입니다. 이 대형움무덤은 조사 당시 양쪽 끝부분이 이미 파괴되어 있었는데, 그 규모는 폭이 2.6~3.2m, 길이는 10m가 넘었으며, 깊이는 0.8m 가량 되었습니다. 이 커다란 구덩이 안에는 8개의 나무널이 나란히 놓여져 있었고, 하나의 무덤 구덩이 안에 여러 기의 나무널을 설치하는 이러한 무덤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것입니다. 무덤내의 각 나무널에서는 붉은 색과 검은색이 칠해진 칠기를 비롯하여 토기와 철기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초기백제시대의 연구에 있어서 빼놓을 수없는 매우 중요한 것들입니다. 

 

석촌동 적석총의 상한 연대는 4세기 중엽으로 추정되며, 475년 공주 천도 이후 적석총은 더 이상 축조되지 않고 석실분이라는 묘제로 전환한 것으로 보입니다. 석촌동 고분군은 초기 백제의 묘제 및 그 지배층의 출자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아래 게시되는 유물들은 발굴조사 당시 발굴된 유물들로 서울대박물관 소장품들입니다. 백제 초기 유물을 공부하고자는 학생 분들께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굽접시(高杯)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6-즙석봉토분/높이6.2cm구경11.5cm저경6.9cm/

 

 뚜껑(蓋)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6-2호 토광묘/높이5.3cm구경10.8cm저경cm/

 

 깊은바리(深鉢形土器)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 / 석촌동파괴분/높이10.0cm구경10.0cm저경6.0cm/

 

 깊은바리(深鉢形土器)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 /석촌동 파괴분 /높이9.0cm구경10.5cm저경7.7cm/

 

 깊은바리(深鉢形土器)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86-즙석봉토분 /높이7.7cm구경10.8cm저경7.6cm/

 

 검은간토기 항아리(黑色磨硏土器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석촌동 적석 /높이24.0cm구경11.8cm저경8.5cm/

 

 검은간토기 굽다리잔(黑色磨硏土器臺附杯)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석촌동 적석 /높이11.2cm구경8.4cm저경5.1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봉토분 /높이20.9cm구경10.5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7-1호분주변 /높이19.6cm구경13.3cm저경9.6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3호토광주변 /높이16.5cm구경9.9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直口短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8호 토광 /높이15.6cm구경9.9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直口短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A지구 인골주변 /높이15.8cm구경9.3cm저경6.0cm/

 

 짧은목 항아리(直口短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4호 적석총 /높이15.6cm구경9.0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直口短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9호토광 /높이20.6cm구경15.3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直口短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7-N5 E3 /높이8.9cm구경8.6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直口短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7-3호 석관묘하층 /높이15.5cm구경9*.2cm저경7.0cm/

 

 짧은목 항아리(直口短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석촌동 파괴분 /높이9.0cm구경6.9cm저경6.9cm/

 긴목 항아리(廣口長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6-5호 토광 /높이19.1cm구경15.4cm저경cm/

 

 긴목 항아리(廣口長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9호 토광주변 /높이18.6cm구경15.2cm저경cm/

 

긴목 항아리(廣口長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7-N4 E3 /높이19.0cm구경14.0cm저경cm

 

 긴목 항아리(廣口長頸球形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A지구 상층 /높이28.2cm구경18.1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적석부 /높이33.2cm구경17.9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7호 토광 /높이28.0cm구경16.1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석촌동파괴분 /높이33.0cm구경16.5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4호적석총/높이18.8cm구경12.8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7-석촌동 /높이17.0cm구경13.0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6-인골주변/높이16.0cm구경13.1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外反口緣小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7-3호석곽묘/높이10.5cm구경12.4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外反口緣小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6호토광묘 /높이10.8cm구경12.9cm저경cm/

 

 

 두귀달린 항아리(兩耳附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봉토분/높이11.5cm구경9.6cm저경10.4cm/

 

사발()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7-1호석곽묘/높이4.6cm구경13.2cm저경8.2cm/

 

 사발()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화장유구 /높이5.5cm구경11.5cm저경7.0cm/

 

 사발()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7-2호토광묘 /높이6.9cm구경14.5cm저경8.8cm/

 

 사발()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7-2호토광묘/높이4.5cm구경14.1cm저경7.0cm/

 

 사발()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4호토광묘 /높이5.9cm구경15.7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廣口小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6-즙석봉토분/높이6.9cm구경13.3cm저경cm/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6-제1적석/높이11.5cm구경19.5cm저경cm/

 

 쌍단지(雙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5호분주변 /높이5.9cm구경8.0cm저경5.4cm/

 

 병(甁)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6-11호토광/높이15.5cm구경5.8cm저경cm/

 

 굽 항아리(臺附壺)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석촌동파괴분/높이18.0cm구경13cm저경cm/

 

 

 

숫막새 각종(四區劃圓文瓦當)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4호분주변/(左)두께0.8cm직경12.6cm/

 

 

 

 옥을 갈던 돌(玉硏石)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3호분주변 /높이16.0cm/

 

 돌추 . 숫돌(石錘 . 砥石)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3호분주변 /(石錘)높이7.7cm폭5.3cm무게160g/

 

 금귀걸이 . 달개 각종(金製耳飾 . 瓔珞 各種)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86화장유구 /(上中)지름3.2cm/

 

 

 은제귀이개(銀製耳利開)

百濟 漢城時代 石村洞發掘遺物/ 87-2호석곽/길이4.1cm머리지름0.7cm/

 

 

 

 

參考資料出處  : 서울大學校博物館發掘遺物圖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