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지역 (咸安地域)
가야 토기는 고식도질토기의 양식을 계승 . 발전하지만 각 지역별 특색이 뚜렷합니다.
이것은 가야의 정치적 배경과 관련된 것으로 현 단계에서 가야 토기를 지역별로 분류하자면
대체로 아라가야 古址였던 함안, 대가야의 고령 등 가야 소국의 중심지에 따라 여러 지역의 양식으로 나눌 수도 있지만,
크게는 이른 시기부터 신라의 정치적 영향을 받거나 예속된 지역인 김해, 창령, 대구 등 낙동강 東岸 지역과
함안, 고령 등의 낙동강 서안 지역의 토기가 양식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그러므로 낙동강 서안 양식이 전형적인 가야토기라 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특징은 굽다리접시의 경우 透窓이 직렬로 배치된 나팔형 굽다리와 목단지는 목과 어깨부분이 둥굴게 연결되고
목에만 밀집파상문이 시문된 점 등입니다.
이러한 전형적인 가야 토기의 변천 과정은 함안지역과 고령지역의 토기를 통해 쉽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가야 토기(咸安地域)
< 第1期 >
함안식 토기의 대표적 형태인 상하일렬의 장방형 2단 투창 유개고배와 고배형기대 등이 등장합니다. 유개고배(有蓋高盃)는 長脚과 短脚의 두 종류가 있는데 구연부는 내경하며 뚜껑받이턱은 길게 돌출된 모습이다. 고배형기대는 배신부분이 반구형에 가깝고 구연끝은 약간 꺾여 외반하며 대각에는 삼각형투창이 상하 엇갈리게 뚫려 있습니다. 이외에도 단경호 컵형토기 등이 있습니다.
(제1기 기형 도형)
< 第2期 >
주요 기종으로는 유 . 무개고배, 장경호, 고배형기대, 컵형토기 등이 있습니다. 유개고배는 구연이 내경하고 뚜껑받이턱은 수평으로 돌출하며 배신바닥이 다소 둥글어졌습니다. 대각(臺脚)은 비교적 긴 편으로 돌선에 의해 2~3단으로 구분되어 투창(透窓)은 상하일렬의 2단 장방형투창(長方形透窓), 1단 長三角形투창, 화염형투창(火焰形透窓)등이 함께 나타납니다. 그리고 無蓋式高盃도 투창형태에 있어서는 有蓋高盃와 마찬가지입니다. 長頸壺는 어깨가 다소 강조된 역사다리꼴의 몸통에 나팔상의 목이 결합된 형태로 목은 돌선에 의해 2~4단으로 나뉘며 문양은 시문되지 않았습니다. 컵형토기도 다양한 형태이지만 몸통이 역사다리꼴을 띠고 상부에서 약간 좁아져 목을 이룬 뒤 다시 외반되며, 몸통은 돌선에 의해 2~3단으로 나누어진 형식이 대표적입니다. 어깨에서 바닥에 걸쳐 "C"자형의 둥근 손잡이가 붙어있습니다.
(제2기 기형 도형)
<第3期>
器種은 2기와 유사하지만 고배의 뚜껑받이턱이 짧아지며, 대각은 나팔형을 이루는데 중앙의 돌선 근처에서 最小經을 이룹니다. 대형의 고배는 뚜껑에 밀집파상문, 소형은 점열문이 시문되어 있습니다. 이 단계의 가장 큰 특징은 유개고배에는 상하일렬 2단 장방형투창이, 무개고배에는 화염형투창만이 채택되는 것으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토기가 전반적으로 정형화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장경호의 몸통이 다소 편구형화되면서 목에 밀집파상문이 시문되고, 고배형기대는 배신이 다소 얕아지면서 직선화 되는데 대각은 좁게 내려오다 말단부에 이르러 약간 벌어지는 형태를 띱니다. 그리고 컵형토기는 몸통 가운데가 부풀어오르며 문양이 시문되고 손잡이의 부착 범위가 좁아지며 위로 치켜들려 있습니다.
(제3기 기형 도형)
<第4期>
전반적으로 토기가 소형화되면서 蓋盃, 把手附小壺, 把手附平底甕 등의 기종이 새롭게 등장합니다. 그리고 고배 중 일부는 구연끝이 좁은 면을 이루고 끝나며, 대각 하단부가 급격히 벌어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고령식토기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무개고배는 소형화되면서 투창이 삼각형으로 변하였습니다.
(제4기 기형 도형)
<第5期>
고령식 토기의 유입이 이 단계의 가장 큰 특징으로 전체 토기들이 소형화된 가운데 무개고배에는 긴 꼬리가 달린 삼각형의 투창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화염형투창의 퇴화형인 것으로 보이며, 또 같은 형태의 무개고배에 일단 장방형투창이 뚫리기도 합니다. 이와 함께 고령 등 대가야지역에서 성행하는 1단투창고배, 합 개배 등이 등장합니다.
(제5기 기형 도형)
< 第 6 期 >
현재까지 함안식 토기의 지표가 되어오던 有 . 無蓋高盃, 고배형기대, 장경호 등은 보이지 않고 이와는 달리 신라화된 형태의 고배, 단경호 등이 보입니다.
(제6기 기형 도형)
< 참고자료 : 한국 고대의 토기1997/12 >
'가야(伽耶) > 가야 유물(伽耶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4世紀 가야토기 (0) | 2009.08.25 |
---|---|
2 . 가야 토기 고령지역 (伽倻 土器 高靈地域) (0) | 2009.08.24 |
그릇받침(鉢形器臺) (0) | 2009.03.19 |
유개파수부호(有蓋把手附盒) (0) | 2009.03.19 |
목항아리와 그릇받침(長頸壺.鉢形器臺) (0) | 200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