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거나 책을 읽을 때 종이가 말리거나 펄럭이는 것을 막기 위해 종잇장 . 책장을 눌러두는 용도에 쓰입니다. 書鎭이라고도 하며, 중국에서는 鎭紙라고 합니다. 銀 . 銅 등의 금속과 玉石 . 나무를 재료로 웅크린 龍 . 두꺼비 . 호랑이 등의 상형물을 만들거나, 도톰하며 긴 尺의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중국에서는 자(尺)의 형태로 한 문진을 압척(壓尺)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형물 보다 자의 형태를 한 문진을 많이 애용하였습니다.
철제은입사문진(鐵製銀入絲文鎭)
朝鮮 19世紀/ 길이 20.0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나무문진(木製文鎭)
朝鮮 19世紀/15.0×20.0두께1.4 三省出版博物館所藏
옥석문진(玉石文鎭)
朝鮮 19世紀/27.3×4.9두께1.7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모란문문진(牡丹文文鎭)
朝鮮 19世紀/15.5×3.1두께1.4cm,송영방 所藏
모란문문진(牡丹文文鎭)
朝鮮 19世紀/15.5×3.1두께1.4cm,송영방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유물(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가 (筆架) 石製.靑銅製. (0) | 2009.06.17 |
---|---|
붓 (毛筆) (0) | 2009.06.17 |
시전지(詩箋紙) (0) | 2009.06.16 |
시전지판 (詩箋紙板)19점 (0) | 2009.06.16 |
시전지판(詩箋紙板)9점 (0) | 2009.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