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백자 . 청화백자 연적(白磁 . 靑華白磁硯滴)

鄕香 2009. 4. 13. 18:24

 

 

연적은 벼루에 물을 붓기 위해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서 두 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물을 담고 따르기에 용이하게 만든 것입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연적은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들입니다. 그 형태는 사각.부채.육각.보주.두꺼비.해태.물고기.거북.화형.무릎형.복숭아.환형 등 다양합니다. 순수한 백자製도 있으나 청화백자 또는 청화에 銅畵를 곁들여 아름답게 장식한 것이 많습니다. 연적은 문방에서 실용으로 쓰이면서 완상품의 구실도 하였습니다.

 

 1 . 윗면은대체적으로 편평한 편이고 어깨가 넓고 아래로 내려가며 역삼각을 이루다가 낮은 굽을 먀련한 백자 연적으로 윗면 가운데에 氣孔이 있고 가장 넓은 어깨위치에 돌출된 注口가 있습니다. 유백색의 편한 느낌을 줍니다.

 

 

백자연적(白磁硯滴)

조선19세기/높이9.7cm,몸지름14.2cm,밑지름8.1cm/鄭甲鳳 所藏

 

 

2 . 蓮峯 모양의 몸체 위에 氣孔을 뚫고 기공을 중심 점으로 하여 청화로 나뭇잎을 꽃처럼 구성하였고 중간에 대나무 마디모양의 水口를 마련하였으며, 그 양면에 반원의 구획을 두고 그 전면에 음각으로 세로선 일정하게 파내어 돋을 선을 형성하였고 기 밑에 음각으로 가로 방향으로 돌려 파내어 돋은 띠를 만들고 그 밑 안쪽에 굽을 두었습니다.

광택이 있고 푸른기가 섞인 회백색의 백자유를 시유하였으며, 빙렬은 없고, 굽 언저리의 깎음새가 단정하며, 깨끗한 모래를 받쳐 번조하여,

깔끔한 형태도 좋지만 청화안료의 고른 발색의 청량함도 좋습니다.

 

청화백자연적(靑華白磁硯滴)

조선19세기/높이8.1cm,몸지름9.0cm,밑지름7.1cm/鄭甲鳳 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