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백자동화죽문호(白磁銅畵竹文壺)

鄕香 2009. 3. 4. 22:59

 

산화동(酸化銅) 안료로 문양을 그려서 문양이 붉은 색을 내는 진사 백자가 조선시대 어느때부터 만들어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남아 있는 유물들로 미루어 17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18세기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이 진사 항아리는 어느 지방 가마에서 만들어진 독특한 아름다움을 간직한 작품입니다.

산지가 개성 근처라느니 강화 교동(嶠洞)이라느니 하는 설이 있으나 아직 가마를 확인하지 못하였습니다.

바로 선 나지막한 입 부분의 끝이 도톰하게 말렸으며 그 아래 어깨가 맵시 있게 부풀었습니다.

허리는 약간 잘룩하고 굽은 몸체 밑둥에서 대담하게 꺾여들어 훨씬 안쪽에 붙었습니다.

이 항아리의 입 부분과 몸체 및 굽이 엮어내는 멋진 조화는 한국인만이 표현할 수 있는 독특한 아름다움의 경지입니다.

얼핏 보아서는 잘 알 수 없지만 오랫동안 두고 바라볼수록 더 애정이 가고 그 특출한 조형 감각에 찬사를 보내게 되는

그런 종류의 아름다움입니다. 양면에 진사로 곧게 선 대나무를 그렸는데, 하나는 크고 반대편 것은 작습니다.

이런 모양의 대나무는 흔히 18세기 중·후반의 백자청화에서 종속 문양으로 등장합니다.

대나무 사이의 양면에는 십자형으로 변형된 구름을 그렸습니다.

 

 

 백자동화죽문호(白磁銅畵竹文壺)

韓國 - 朝鮮[18세기] / 陶磁器-(白磁) / 높이20.9Cm. 입지름11.7cm. 바닥지름9.9Cm /국립중앙박물관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