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서 말하는 堆花란 붓을 이용하여 붉은 흙이나 흰흙으로 무늬을 그리는 점에서 퇴화 청자는 철화 청자와 그 방법이 같습니다.
그러나 안료가 그릇 표면에 두껍게 발라져 무늬 부분이 도드라진 점이 다릅니다. 음각 양각 상감 기법의 무늬 주위에 퇴화 기법이 점이나 선을 곁들여 장식하거나 무늬 전체를 자연스럽게 그려준 경우 입니다. 이 병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청자 양각퇴화여의두연판병(靑磁 陽刻堆花如意頭 蓮瓣 甁)
한국-(高麗) 《12 世紀 初》/ 도자기-(靑磁) 高 23.0cm 口徑 9.5cm 底徑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 철유연당초문참외형병(靑磁 鐵維蓮唐草文 瓜形 甁) (0) | 2009.02.19 |
---|---|
.청자양이병(靑磁兩耳甁) (0) | 2009.02.19 |
청자 퇴화 연화문 양각 대접(靑磁堆花 蓮花紋陽刻 大鉢 ) (0) | 2009.02.19 |
.청자상감모란무늬항아리(靑磁 象嵌 牡丹文壺) (0) | 2009.02.19 |
.청자귀룡형주전자(靑磁 龜紋 注子) (0) | 2009.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