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띠드리개(杏葉)는 말의 가슴나 엉덩이부분에 매달아 말을 꾸미는 장식품입니다.
삼국시대의 말띠드리개는 형태에 따라
심엽형행엽(心葉形杏葉), 타원형행엽 (橢圓形杏葉), 편원어미형행엽(扁圓魚尾形杏葉), 검능형행엽(劍菱形杏葉) 등이 있는데,
이 말띠드리개는 편원어미형과 더불어 삼국시대의 무덤에서 가장 많이 출토하는 심엽형입니다.
편원어미형은 윗부분이 둥글고 아랫부분이 물고기의 꼬리모양을 하고 있는 것으로 경주를 중심으로 하는 신라권에 집중되어
출토되는 형태인 반면에 나뭇잎모양의 심엽형은 신라·가야는 물론 고구려와 왜(倭)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확인됩니다.
지판(地板)과 동일한 크기의 금동판으로 상판(上板)을 만든 뒤 이를 지판위에 포개고 둥근 머리를 가진 못[圓頭釘]을 이용하여 고정시켰고,
상판은 가운데의 일부를 오려내어 주연부과 문양부를 구분지어 보이게 하였습니다.
말띠드리개(金銅製杏葉)
국적/시대 | ![]() |
한국(韓國)-신라(新羅) 《5세기》 |
재질 | ![]() |
금속(金屬)-금동제(金銅製) / 금속(金屬)-철제(鐵製) |
크기 | ![]() |
12.7-16.3cm |
출토지 | ![]()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리 |
소장기관 | ![]() |
국립중앙박물관 |
'신라시대(新羅時代) > 신라 유물(新羅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기인화문병(土器印花紋甁) (0) | 2008.01.20 |
---|---|
「시공사」 쇠북(時供寺銘 靑銅 金鼓) (0) | 2008.01.16 |
광개토호태왕 명문이 있는 청동그릇(壺杅銘靑銅盒) (0) | 2008.01.16 |
虎子形 그릇(異形靑銅容器) (0) | 2008.01.16 |
금동제판불(金銅製板佛) (0) | 200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