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고려 청자(高麗磁器)

.청자 모란 국화 넝쿨무늬 대접(靑磁 象嵌 牡丹菊花唐草文 大楪)

鄕香 2007. 12. 30. 08:59

순청자에서 상감청자 전성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작품으로 음각기법과 상감기법이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안쪽 바닥 가운데에 백상감 띠로 원무늬를 새기고 그 원 안에 12꽃잎의 국화무늬를 역상감으로 표현하고 안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5개의 국화무늬가 돌아가며 배치하였으며, 구연 주위에는 넝쿨 무늬 띠를 둘렀습니다. 바깥 면에는 역상감으로 처리된 넝쿨 무늬(唐草文)가 가득 표현되어 있습니다.

 

청자 모란 국화 넝쿨무늬 대접(靑磁 象嵌 牡丹菊花唐草文大楪) 

한국-(高麗時代)《12 世紀 후반 》/ 仁川廣域市-江華郡 出土 / 도자기-(靑磁) / 高 6.4cm 口徑 16.8cm 底徑cm / 國立中央博物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