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적암 2

문수산성(김포)/文殊山城(金浦)

《조선왕조실록》12책 12권(太白山書庫本)에 의하면 숙종8년(1682년) 강화유수(江華留守) 조사석(趙師錫)이 문수산성 쌓기를 청하니, 이에 숙종 임금이 "강화도의 성과 문수산의 성은 같이 쌓도록 하라 그리고 삼군부(訓練院, 御營廳, 禁衛營)에서 힘을 합하여 하는 것이 좋겠다."하여 축성이 시작되었으나 숙종20년(1694년)흉년이 들어 축조공사가 중단 되었다. 기약 없이 그대로 방치되면서 쌓았던 성은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숙종 38년(1712년) 문수산성을 보전하기 위해 통진읍을 문수산성 내로 옮기자는 결정이 내려졌으나 실행되지 않았다. 다시 숙종44년(1718년)에 김포를 통진읍에 이속시켜 문수산성 수비에 협력하게 하였다. 축성된 둘레가 5,529보, 여장이 2,173첩에 서문, 남문, 북문이 있었으며..

평화누리길 제1코스 (염하강철책길)

《염하강철책길》요즘 급진적으로 나가는 열화 같은 대북정책에 없어질 수도 있겠다 싶은 분단의 아픔 철조망을 몸과 마음으로 체험하며, 지난날의 통한을 되돌아보고자 철책선 따라 길나섭니다. 분단의 상징이며 민족의 아픔이 얼기고 설긴 마땅히 없었어야할 철책이었지만, 휴전 이후에도 끝없이 도발해온 침략적인 북한 권력들의 변화 없는 지금으로서는 필요한 설치물이며 설사 평화적인 통일이 되더라도 존치시켜 교훈으로 삼아야할 것입니다.   전철5호선 송정역1번 출구 밖 중앙차선 버스정류장에서 "신세계백화점~김포 대명항"  60-3 버스로 환승 51개 정류장을 거쳐 1시간30분만에 대명항(종점)에서 하차. 여기서 좌측으로 다시 우측으로 600m거리에 평화누리길 1코스 '염하강 철책길' 안내판과 출발점 아취문이 있습니다. 제..

◆ 평화누리길 2018.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