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弘智門(홍지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동 산 4번지에 소재하는 弘智門과 蕩春臺城은 숙종 45년(1719년)에 한양도성과 북한산성간의 사각지대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연결하기 위하여 지형에 맞춰 쌓은 關門 성격을 지닌 城입니다. 성 안에는 練戎臺라고 하는 鍊武場을 만들고 군량을 비축하는 창고 등을 갖추었습니다. 城廓의 길이는 약 5km 정도입니다. 漢北門으로도 불렸던 弘智門은 1921년 홍수로 인해 홍지문과 오간수문이 무너진 것을 1977년 다시 복원하였습니다. 홍예 위에 정면3칸 측면 2칸의 우진각 지붕 각 추녀마루에는 대당사부(大唐師傅)를 비롯하여 모두 8개의 잡상이 배치되어 있고 무사석 위 주변에는 누각을 둘러막은 女墻을 벽돌로 쌓고 양측에는 작은 일각문 형식의 협문을 하나씩 두어 누각에 오르내릴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