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2

문수산성(김포)/文殊山城(金浦)

《조선왕조실록》12책 12권(太白山書庫本)에 의하면 숙종8년(1682년) 강화유수(江華留守) 조사석(趙師錫)이 문수산성 쌓기를 청하니, 이에 숙종 임금이 "강화도의 성과 문수산의 성은 같이 쌓도록 하라 그리고 삼군부(訓練院, 御營廳, 禁衛營)에서 힘을 합하여 하는 것이 좋겠다."하여 축성이 시작되었으나 숙종20년(1694년)흉년이 들어 축조공사가 중단 되었다. 기약 없이 그대로 방치되면서 쌓았던 성은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숙종 38년(1712년) 문수산성을 보전하기 위해 통진읍을 문수산성 내로 옮기자는 결정이 내려졌으나 실행되지 않았다. 다시 숙종44년(1718년)에 김포를 통진읍에 이속시켜 문수산성 수비에 협력하게 하였다. 축성된 둘레가 5,529보, 여장이 2,173첩에 서문, 남문, 북문이 있었으며..

평화누리길 제8코스(반구정길)

《평화누리길 제8코스(반구정길)》 평화누리길 제8코스 '반구정길'은 종착지 율곡습지공원까지 거리도 적당하고 주변에 펼쳐지는 풍경도 자애로운 선비의 심성을 보는 듯 온화하고 안정감에 젖을 만큼 평화로운 들녘과 적당한 구릉의 야산과 광활하게 펼쳐진 벌판, 황금빛 물결치는 초평도를 싸안고 돌아가는 시리도록 푸른 임진강 물결이 풀어내는 수많은 아린 사연과 바라보면 한걸음에 달려가 볼 수 있을 북녘의 기정동 마을과 개성공단이 눈 안에 들어온다. 또 한 화석정에서 바라보는 아름다운 풍경과 李珥 선생의 선견과 흔적도 빼놓을 수 없는 요점이다. 스스로 돌아볼 것도 없이 걷는 동안 도심에 찌든 심신이 나도 모르게 치유되는 넉넉한 품성을 지닌 여인의 품속 같은 길이다. 반구정-()-임진강역-()-장산마을회관-()- 「청정..

◆ 평화누리길 2018.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