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8폭의 족자로 되어 있으나 원래는 병풍이었음이 분명한 이 일련의 영모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론 <병진년화접(丙辰年畵帖)>에 속한 9점을 제외하곤 일괄된 것으로는 유일한 예입니다. 매폭 7언의 題詩와 두인을 비롯해 주문방인(朱文方印) '홍도(弘道)'와 백문방인(白文方人) '사능(士能)'의 같은 도장들이 찍혀 있습니다. 각 계절을 2점씩 안배한 것은 아니지만, 사계(四季)를 배경으로 각기 다른 종류의 새들을 쌍이나 무리지오 나타냈습니다. 병풍의 게재순은 새 외에 꽃이나 나무 등 계절을 살필 수 있는 요소에 의해 어느 정도 추정이 됩니다. 거위 새끼들이 유영하는 '치아시영(稚鵞試泳)' 매화가지에 구옥새가 앉아 있는 '화간쟁명(花間爭鳴)' 복숭아꽃 핀 가지에 깃든 한 쌍의 새인 '춘금자호(春禽自呼) 등 3점이 春景이고, 여름을 한 쌍의 오리가 등장된 '야수압영(野水鴨泳)'과 연꽃과 연밥을 먹는 '조탁연실(鳥啄蓮實)' 및 메꽃과 대나무 주변에 새가 모인 '죽서화금(竹棲花禽) 3점이며, 가을은 국화꽃과 메추리가 등장된 '국추비순(菊秋肥鶉)입니다. 끝으로 겨울은 눈덮힌 매화에 꿩이 등장된 '치희조춘(雉戱早春)이 있습니다.
국추비순(菊秋肥鶉).(八幅屛風中秋景)
朝鮮時代 / 絹本淡彩 81.7cm × 42.2cm / 澗松美術館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원 김홍도 필 치아시영외2폭(八幅屛風中春景/稚鵞試泳.花間爭鳴.春禽自呼) (0) | 2011.07.09 |
---|---|
단원 김홍도 필 조탁연실.야수압영 (八幅屛風中夏景/鳥啄蓮實.野水鴨泳) (0) | 2011.07.09 |
단원 김홍도 필 치희조춘(八幅屛風中冬景/雉戱早春) (0) | 2011.06.30 |
단원 김홍도 필 춘경도(春景圖) (0) | 2011.06.25 |
단원 김홍도 필 고매명금도(古梅鳴禽圖) .유음취금도(柳陰聚禽圖) (0) | 201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