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酉)》
12지(之) 띠 가운데 유독 두 발에 날개를 가진 것은 닭이 유일합니다. 또한 수 많은 날짐승 중에 고상하다는 학(鶴)도 아니요. 용맹스런 수리(鷲)나 매(鷹)도 아니요. 제왕(帝王)을 상징하는 봉황도 아닌 닭이 하늘을 나는 금(禽)의 대표 격으로 낮이 저물고 밤이 스며드는 초 저녁녘의 중한(幕重) 시각을 지키며, 또한 모든 귀신을 물리치고 새벽을 맞는 之神의 자리에 오른 것은 우연이 아닐 것입니다. <벼슬(官職), 공명(功名), 벽사(酸邪)>등의 의미가 있는 닭띠, 그 수탉이 서 있는 것은 집안에 길한 운세가 일 년 내내 가득하기를 나타낸다고 하였습니다. 밝음을 예고하는 새로 신조(神鳥)로 생각했으며, 새벽에는 귀신을 쫓는 대길(大吉)의 새로 여겼습니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옛사람들은 새해를 맞을 때 온 집안의 재앙을 물리치기를 기원하며 호랑이, 용, 닭 등의 세화(歲畵)를 대문에 붙였습니다.
이렇듯 닭 그림이 백수의 왕이라 하는 호랑이나 신령스러운 동물인 용과 함께 세화(歲畵)로 채택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새벽을 알리는 닭의 울음과 관련이 있습니다. 날이 밝으면 어둠이 걷히고 어둠 속에서 활동하는 온갖 귀신들이 물러난다. 시계를 사용하지 않았던 옛사람들은 새벽이 밝는다는 것을 닭의 울음소리로 알았고 귀신도 그러하다고 생각했던 것이지요.
옛사람은 또한 닭이 오덕(五德)을 갖추었다고 여겼습니다. 머리에 관을 썼으니 문(文)이고, 발에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니 무(武)이고, 적을 보면 물러서지 않고 싸우니 용(勇)이고, 먹을 것을 보면 서로 부르니 인(仁)이고, 어김없이 때를 맞춰 우니 신(信)이라 했습니다.
머리의 관(冠)이라 함은 닭의 볏을 은유한 것으로, 관을 썼다는 것은 관직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닭은 벼슬길에 나아감을 기원하는 의미의 그림으로 그려졌으며, 지금까지도 닭의 볏을 닭 벼슬이라 부르는 사투리가 쓰이고 있습니다.
특히 수탉은 웅계(雄鷄)라 하여 영웅을 상징하며 수탉의 울음소리를 공계명(公鷄鳴)이라 하여 부귀공명의 공명(功名 :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침)과 같은 의미로 파악했습니다. 닭과 함께 맨드라미를 그리기도 하는데, 이를 관상가관(冠上加冠 : 관 위에 관을 더함)이라 하여 입신출세의 최고의 경지를 뜻하는 길상적 상징으로 여겼습니다. 맨드라미 역시 그 모양이 닭의 볏과 같기 때문입니다.
병아리를 돌보는 닭 그림 또한 여러 점 전하는데, 이러한 그림은 닭이 병아리를 돌보듯이 자식들을 잘 키워 출세시키고자 하는 마음을 담은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렇듯 옛날부터 닭은 신성시 되었으며 상서로움의 길상으로 전해오는 동물입니다.
<닭(酉)띠>
1. 장점
→ 의리가 있다. 신념에 확신이 있다. 노력가이다. 이상이 너무 크다. 거짓을 모른다. 상상력이 뛰어나다. 모험심이 강하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뛰어난 힘이 있다. 자신의 꿈에 대해서는 참으로 성실하다.
2. 단점
→ 독선적이다. 몽상가이다. 자랑을 좋아 한다. 바른 말을 잘 한다. 사려가 깊지 않다. 낭비벽이 심하다. 자신의 내적 충고에는 약하다. 의욕이 지나치다. 자신을 표현할 때 호전적이다. 인생의 굴곡이 심하다.
3. 직업
→ 광고업자, 카페 주인, 여행가, 미용 전문가, 의사, 깡패, 군인, 제비족 등...
4. 인연
→ 가장 좋은 만남은 소띠, 용띠, 뱀띠이다.
→ 보통의 만남은 돼지띠, 닭띠다. 가정적인 소띠와는 행복하다. 용띠는 세련미가 있다.
뱀띠와의 만남은 철학자가 된다.
→ 그리 좋지 않은 만남은 말, 양, 쥐, 개, 원숭이, 범띠다.
→ 가장 상극을 이루는 만남은 토끼띠로 닭의 화려함과 허풍을 믿으려 않는다.
5. 애정
→ 용 : 이상이 일치한다.
→ 토끼 : 소심하여 닭의 화려함을 참지 못한다.
→ 범 : 닭의 허풍을 참지 못한다.
→ 소 : 완벽한 한 쌍이다.
→ 쥐 : 닭의 낭비벽을 참지 못한다.
→ 돼지 : 닭이 너무 힘이 세다.
→ 개 : 잘난 닭을 비웃는다.
→ 닭 : 서로 짜증스럽다.
→ 원숭이 : 원숭이보다 닭이 행복하지 않다.
→ 양 : 일에 빠진 닭을 좋아 하지 않는다.
→ 말 : 서로가 그냥 그렇다. 닭이 상처를 더 입는다.
→ 뱀 : 서로 칭찬하며 산다.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를 십이간지(十二干支) 또는 십이지지(十二地支)라고 한다. 이것은 중국에서 불교적인 신앙에 유래된 것으로 호법신으로 잡귀을 물리칠 수 있는 12가지의 동물을 神의 將帥(神將)로 표현한 것이다. 그 후에 시간을 구분할 때 하루를 12등분하여 자시(子時), 축시(丑時), 인시(寅時) 등 12방위로 나누어 오늘날 24시간으로 나눈 것과 같이 사용하였으며,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라는 10간은 하루하루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10일을 1순으로 하여 한 달을 3순으로 나누었으며, 매번 중복되는 달수를 피하여 12지간을 붙여서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였고, 또 이것을 60갑자를 만들어 1년씩 사용하던 것이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는 것으로 12간지의 표현은 각기 다른 동물(12獸)을 사용하였던 것이다.』
「십간」은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십이지지」는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子 쥐 (23시~01시) / 丑 소 (01시~03시) / 寅 호랑이 (03시~05시) / 卯 토끼 (05시~07시) / 辰 용 (07시~09시) / 巳 뱀 (09시~11시) / 午 말 (11시~13시) / 未 양 (13시~15시) / 辛 원숭이 (15시~17시) / 酉 닭 (17시~19시) / 戌 개 (19시~21시) / 亥 돼지 (21시~23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