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평통보의 크기를 기존의 크기보다 더 크게 바꾸어 새롭게 만든 대형 상평통보이다.
1678년(숙종 4년)에 처음 발행된 상평통보는 뒷면에 아무 글자가 없거나 윗부분에 각 동전을 만든 관청의 약호가 한 자씩 표기되기도 하고, 예외적으로
위·아래에 두 자씩 표기된 것도 있는데 이를 ′초주단자전′이라 부른다.
이듬해 1679년 정부에서 초주단자전보다 더 크게 만든 것이 바로 당이전이다.
상평통보 당이전의 중량은 2전 5푼(8.375그램)이었고, 은 1냥(兩)에 대한 공인 교환율도 400문(文)에서 100문으로 변경되었다.
당이전이 새로 발행되었을 당시에는 초주단자전과 당이전이 함께 유통되었지만 초주단자전은 차츰 유통되지 않고 당이전이 상평통보를
대신하였다. 상평통보 당이전은 처음에는 중앙에서만 만들어 발행하였으나 점차 지방에서도 만들어 발행되었다.
대부분 당이전의 앞면에는 ″상평통보(常平通寶)″, 뒷면 상단에는 호조(戶曹)와 진휼청(賑恤廳)을 의미하는 ″호(戶)″, ″진(賑)″ 등의 주조 관청이 새겨지고,
하단에는 당이전을 의미하는 ″이(二)″가 새겨져 있다. 이 당이전은 일부가 부식되었으며, 일부는 색이 칠해져 있다.
한편 상평통보는 이후 화폐 원료가 부족해지자 원료 절감을 위해 크기가 점차 작아졌다.
상평통보당이전(常平通寶當二錢)
한국 - 조선시대 / 철제(鐵) 지름 3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유물(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첩(鐵製 銀入絲 摺鐵) (0) | 2008.01.29 |
---|---|
가위(剪刀) (0) | 2008.01.29 |
조선 상평통보당오전(常平通寶當五錢) (0) | 2008.01.05 |
조선 상평통보당백전(常平通寶當百錢) (0) | 2008.01.05 |
해동통보(海東通寶) (0) | 200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