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伽耶)/소가야(小伽耶)

소가야 (小加耶)

鄕香 2008. 1. 4. 18:07

  

소가야는 固城을 중심으로 남해안 일대에 자리한 가야입니다.

삼한시기의 고성지역에는 중국의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보이는 변진고자미동국(弁辰古資彌凍國)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삼국사기〉에는 古自國 도는 古史浦國으로 〈일본서기〉에는 久嗟.古嵯 등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모두 고자국(古自國)에 대한 표현상의 차이입니다.

 

고성은 경상남도의 남부해안에 위치한 지역으로 東으로는 馬山. 西로는 泗川. 北으로는 咸安,  南으로는 바다와 접해 있어 海路와 陸路를 이어주는 교역망 확보에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고성읍 주위에는 바다와 인접하면서도 비교적 넓은 농경지인 고성평야가 위치합니다. 古自國은 이와 같은 고성지역의 지리적 이점을 이용한 해상교역을 통해 소 가야로 성장 발전하였습니다.

三國史記 물계자전(勿稽子傳)에는 3세기 무렵 古史浦를 비롯한 남해안에 기반을 둔 포상8국(浦上八國)이 힘을 합쳐 아라국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남해안의 해상교역권을 놓고 낙동강하류역 세력과의 다툼이 있었음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소가야는 크게 성장하지는 못하였지만 6세기 중엽까지도 여전히 유력한 가야 세력의 하나로 존재하고 있었음이 〈日本書記〉에 보입니다.

    

 

固城 연당리 古墳群 

 

 小加耶의 遺蹟으로는 사적119호인 고성 송학동 고분군을 비롯해 사적120호인 내산리고분군, 율대리고분군, 연당리고분군, 오방리고분군, 사천 예수리고분군, 진주 중안동고분군.가좌동고분군 등의 무덤유적과 고성 동의동조개더미 등의 생활유적이 있다.

이 가운데 조사가 이루어져 확인된 무덤의 구조는 돌덧널과 옆트기식돌방무덤이주류를 이루고 있다.

 

동의동조개더미유적에서는 제사유구가 조사되었는데 이곳에서 儀式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새무늬청동판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에는 큰 새 두 마리를 중심으로 모두 42마리의 새가 조각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倭의 광형동모(廣形銅모)모=(金+牟)는 矛의 古字. 야요이토기(彌生土器)와 중국의 도장무늬토기(印文陶)가 출토되어 당시 활발했던 소가야의 교역상을 보여주고 있다. 

 

 

固城 동외동 조개더미 제4유구

 

소가야의 근거지인 고성에는 이곳을 중심으로하는 하나의 토기분포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역의 표지적인 토기 형태로는 납작한 몸체에 긴네모꼴굽구멍(長方形透窓)을 가진 굽다리뚜컹접시와 아가리 끝이 수평을 이루며 퍼진 목항아리(水平口緣壺)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의 토기는 5세기 중엽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전반까지 유행하다 6세기 중엽에 사라진다. 이 토기의 분포는 고성을 중심으로 남쪽으로는 거제, 북쪽으로는 거창과 남원, 동쪽으로는 창원, 서쪽으로는 하동에 걸친 넓은 범위이다. 이 분포범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기별로 차이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고령지역 토기의 확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5세기 후반경에 넓게 퍼져 있던 고성지역 토기의 분포범위는 6세기 전반부터 시작된 고령지역 토기의 확산으로 상당히 축소된다. 이 밖에 고성지역에서는 함안지역의 특징적인 토기가 보이지 않는 점이 특이하다.

이러한 토기의 본포와 시기에 따른 변화는 소가야의 정치적,사회문화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가야의 중심지에 비해 고성지역은 조사가 활발하지 못해 소가야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특히 여러 가야지역에서 보이는 두렷한 지배계층의 고분군이 아직 조사되지 않아 소가야문화를 구체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새무늬청동기(鳥文靑銅器)

固城 東外洞 4世紀 長 8.9cm 幅6.4cm

 

그릇받침(器臺)

晋州 加佐洞 5世紀 高49.6cm,  口徑10.8cm

 

굽다리접시(有蓋高杯)

晋州 加佐洞 1號墳 5世紀 高15.4cm,  口徑12.8cm

 

각종토기(土器各種) 

固城 蓮塘里 5世紀 高28.9cm,  口徑31.0cm (右)

 

네귀항아리(四耳附壺)

晋州 中安洞 5世紀 高24.0cm,  口徑11.4cm

 

여러가지 꾸미개(裝身具 各種)

晋州 中安洞 , 固城 栗垈里, 5世紀 徑7.0cm(左上)

 

청동거울(銅鏡)

晋州 中安洞 5世紀 厚0.5cm,  徑14.0cm

 

목걸이(頸飾)

晋州 中安洞 , 固城 栗垈里, 5世紀

 

수레바퀴모양토기(車輪飾土器)

宜寧 大義面 5世紀 高18.5cm,  幅24.0 cm 寶物 第637號

 

오리모양토기(鴨形土器) 

出土址未詳,5世紀 高11.0cm,(左)

 

 뚜컹,시루.깊은바리.화덕모양토기(蓋.甑.深鉢.爐形土器)

出土址未詳,5世紀 高17.5cm,

 

여러가지이형토기(異形土器 各種) 

慶南地方,4~5世紀 高13.7cm,  口徑9.2cm (右)

 

대모양토기(竹筒形土器)

馬山 縣洞 50號墳 5世紀 高22.5cm,  口徑5.1cm

 

장군(缶)

馬山 縣洞 7號墳 5世紀 高10.5cm, 幅9.5cm

 

뿔잔(角杯)

馬山 縣洞 50號墳 5世紀 長23.9cm,  口徑4.6cm

 

무늬장식뚜컹(有文蓋)측면

咸安 輪外里4世紀 高7.0cm,口徑16.7cm

 

무늬장식뚜컹(有文蓋) 上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