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농경문 청동기(農耕文 靑銅器)로 윗부분만 남아있습니다.
농경문 청동기에 그려져 있는 그림을 통해 농경과 관련된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던 의식용(儀式用) 도구로 여겨집니다.
농경문 청동기로 불리고 있으나 그 형태상 방패형 동기(防牌刑 銅器)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몸체 가장 윗부분에는 작은 네모난 구멍 여섯 개가 배치되어 있는데 구멍마다 조금씩 닳아 있어 끈으로 매달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며,
양쪽 면에는 정가운데 세로 방향과 가장자리 윤곽을 따라 빗금, 선, 점선을 이용한 무늬띠가 돌아가고 그 안쪽 빈 공간에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
한쪽 면 오른쪽에는 머리 위에 긴 깃털 같은 것을 꽂은 채 따비로 밭을 일구는 남자와 괭이를 치켜든 인물이 있고 왼쪽에는 항아리에
무언가를 담고 있는 인물이 새겨져 있습니다. 다른 한쪽 면에는 오른쪽과 왼쪽 모두 두 갈래로 갈라진 나무 끝에 새가 한 마리씩 앉아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고, 또한 새끼모양의 둥근 고리가 끼워져 있는 꼭지[鈕]가 한 개 달려있습니다.
농경문 청동기는 인물, 농기구, 경작지 등을 추상적인 선으로 묘사해 청동기시대의 농경과 농경 관련 의례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유물입니다.
(앞면)
(뒷면)
농경문 청동기(農耕文靑銅器) 한국(韓國)-초기철기(初期鐵器) / 전(傳)대전광역시 출토 / 청동제(靑銅製) 길이(長) 12.8 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
'선사(先史) > 초기철기시대(初期鐵器時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철기(初期鐵器) 방패형 동기(防牌刑銅器) (0) | 2007.07.16 |
---|---|
초기철기(初期鐵器) 방패형 동기(防牌刑銅器) (0) | 2007.07.16 |
초기철기(初期鐵器) 권총형 동기(拳銃形銅器) (0) | 2007.07.16 |
제사장 (Shaman) 의 모습. (0) | 2007.07.16 |
鐵器時代靑銅器 鑄造와 鑄範 철기시대청동기 주조와 거푸집 (0) | 2007.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