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 6세기에서 11세기에 걸쳐 중앙아시아 고비사막 북부지역, 한가이(Hanggai)지역, 사얀(Sayans)지역과 알타이지역에는 투르크계 언어를 사용하던 유목민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들의 기원은 훈족이나 정령(丁零)족과 관련되어 있다. 중국기록에는 부족 연맹체인 투루크트(Turkut 또는 Tuku)에 대한 자료가 있다. 그들은 소위 투르크족으로 이들로부터 투르크어군의 이름이 유래되었으나 투르크족 뿐만 아니라 철륵(鐵勒)부족들, 특히 위구르(回紇;중국서북방에있던 터키계의 종족 이름)나 킵차크족과 같은 부족들도 이들의 문화원류였던 것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고 트르크(古Turks)의 룬(Lun)문자가 새겨진 비석> 몽골접경지역.
투르크는 535-552년경 투르크 제1 카간<가한(可汗:돌궐(突厥)의 임금 이름>국을 세웠다. 문헌에는 음산(陰山)에서 황하(黃河)에 이르는 광대한 목초지가 투르크의 원주지라고 기록되어 있고 이곳에 투르크 제1 카간국의 카간(可汗)들이 매장되었다. 무한(木汗)카간 치세시에 투르크의 세력은 서쪽으로는 중앙아시아로부터 동쪽으로는 발해만까지 퍼지고 남쪽으로는 중국으로부터 사야노-알타이 고원지대를 포함하여 바이칼까지 그 영토를 확장하였다. 투르크 제1 카간국은 중국, 이란, 비잔틴 등과 광범위한 정치, 경제적 관계를 맺었으나 내란으로 말미암아 583년에는 동서로 분열되었다.
시바(Shiba)칸이 지배하는 동투르크 카간國은 훨씬 강대한 세력이 되었다. 동쪽으로는 치탄(Chitan)과 서위(西魏)로부터, 서쪽으로는 토번(土蕃)까지의 모든 유목민들이 시바칸에게 복속되었다. 그는 심지어 중국의 내정까지 적극적이고 대담하게 간섭하였다. 이 최초의 동투르크 카간국은 630년에 멸망하였다. 이때의 동투르크의 유목민 귀족계층은 지도자로 쿠피(kupi)를 추대하였다. 그리고 쿠피는 그의 본영을 알타이 지역으로 옮겼다. 그리하여 투바와 알타이지역이 이들 유목민의 진영에 편입되었다. 쿠피는 서쪽으로 서부 알타이 지방에 살던 카르룩(karluk)부족들을 복속시켰고 북쪽으로는 예니세이(Yenisei)의 키르기즈(Kirghiz)국가를 복속시켰다.
646년에 중국의 군대는 동투르크 및 위구르와 연합하여 서투르크를 멸망시켰으며, 5,000명 이상을 참수하고 30,000여명을 포로로 잡았다. 648년에는 나머지 잔여 세력도 알타이 산악지역에서 궤멸당하였다.
660-663년경 투르크족의 봉기는 해방에 대한 의지와 자립국가로서의 부활의지가 유목민에게 여전히 살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680년 초부터시작하여 투르크족들은 일치단결하여 여러 차례 봉기한 결과 682년에 동투르크의 제2 카간국이 형성되었다. 투르크족들은 수많은 전쟁을 통해서 적들을 정복하고 분쇄하였다.696년에 이르러 모든 투르크족들은 당(唐)나라의 지배하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었다. 이 시기에 동투르크족들에 의한 제2 카간국은 번영을 이루게 되었다. 742년 중국 황제의 명령에 의하여 위구르와 그 연합세력들은 이 동투르크를 공격하였다. 결국 774년 투르크 제2 카간국은 멸명하고 위구르국가(745-840)로 교체되었다. 위구르족이 북부 몽골지역에 다시 국가를 세우게 된 것이다. <V.I.Molodin>
'외국(外國) > 알타이(Altai) 문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지배시대 (0) | 2011.11.02 |
---|---|
고 투르크(古 TURks) 문화 (0) | 2011.11.01 |
서부 시베리아의 훈족 전사 무덤과 유물 (0) | 2011.10.29 |
우코크 평원의 훈시대 제사유적 (0) | 2011.10.29 |
5 .『훈(Hun)시대 』 (0) | 201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