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最古의 벼루는 가야및 삼국시대의 陶硯 입니다. 또 통일신라시대의 木心漆硯 이 있어 일찍부터 다양한 벼루가 만들어 졌음을 짐작케 하나 고대의 벼루에 관한 문헌상의 기록이 전혀 없으며 또한 유물도 위에 언급한 것외에는 없는 실정입니다. 고려시대 李奎報(1168-1241) 詩 중 벼루에 관한 <작은 벼루에 대한 명 . 小硯銘> . <벼루가 깨지다 . 破硯>두 편의 詩의 내용으로 보아 재료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파연'이란 시에서는 돌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비록 돌 벼루를 사용하였으나 그 품질은 썩 좋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중국 송나라와의 국교<선화 6년(1124)>9월에서 우수한 물품들로 사용된 예물 목록에 종이.붓.먹. 등과 나전연갑.나전필갑은 있어도 벼루는 없었다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의 벼루가 우수했다면 그 목록에 포함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으니까요. 조선시대에는 전국 산지에서 나는 각종 硯石으로만든 벼루들이 생산되었으며 <경도잡지> . <임원경제지> . <규합총서> .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에 벼루의 산지에 관한 기록이 있습니다.
벼루의 명칭은 재질 . 산지 . 형태(체식과 조각)등에 의해 부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이 세가지를 혼합하여 부르므로 그 명칭은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벼루의 體式은 방형 . 風字形 . 원형 . 타원형 . 팔릉형 등이 있으나 기본형은 方形입니다. 벼루는 조각이 전혀 없는 것도 있으나 여러 무늬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이 더 많습니다. 무늬에는 포도 . 용 . 산수 . 국화 . 십장생 . 물고기 . 荷葉에 물고기나 개구리 오리를 곁들여 장식한 것 등이 있습니다.
1 . 반달 뜬 연못가에 고매한 여심인양 곱게 핀 매화 한 송이 곧은 기개 맑은 선비의 마음이 대나무 푸른 마음으로 걸렸고 부귀와 영화를 잉어와 원앙에 담았네.
옥당벼루(玉堂硯)
朝鮮 17~18世紀/높이1.3 cm, 16.1×9.3,/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2 .
赤硯 : 청계의 문향을 담고자 곧은 절개의 선비(梅.竹)들이 너를 사모하는구나,
黑硯 : 못에 연꽃을 四方에 피워내고 잔잔한 물결에 잉어와 물고기는 상서로움으로 노닐고~~~
매죽문옥당벼루(梅竹文玉堂硯) : 朝鮮 17~18世紀/높이1.7cm, 15.7×7.0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어문벼루(魚文硯) : 朝鮮 17~18世紀/높이 0.9 cm, 15.3×10.3,/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3 . ①연못가에 해가 뜨니 매화가 피고 그 연못에 달이 뜨니 평화로움에 물고기가 즐겁습니다.
② 두 마리의 용이 연못을 감아 도는 것은 경사로운 입신의 염원을 墨香 만큼이나 담았네
①매화쌍리일월벼루(梅花雙鯉日月硯) : 朝鮮 17~18 世紀/높이1.2cm, 15.7×8.5 / 한광호 所藏
②쌍용회문벼루(雙龍廻文硯) : 朝鮮 17~18世紀/높이1.7 cm, 23.6×10.0/ 조창무所藏
4 . 산세 좋고 물 맑은 연못가에 휘어 틀어진 노송 아래 그린듯이 亭.樓를 짓고 앉아 먼 산의 구름과 풍월을 노래하네.
산수문벼루(山水文硯)
朝鮮 17~18世紀/높이3.1cm, 24.5×14.3 / 권도홍所藏
5. 색깔 고운 연석에 오동잎을 곱게 새겨 가을의 운치를 조화롭게 일궈낸 아름다움이 마음을 평화롭게 합니다.
오동잎문벼루(梧桐葉硯)
朝鮮 17~18世紀/높이2.0 cm, 15.9×11.1 / 권도홍所藏
6 . 사공도 노도 삿대도 없는 거룻배의 硯池에 개구리 한 마리가 고요한 정적을 깨우고 있습니다.
배 모양 벼루(舟形硯)
朝鮮 17~18世紀/ 두께1.6 cm, 길이21.0 폭 6.5~9.1,/ 國立民俗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유물(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루 추사유품(秋史 金正熙 遺品) (0) | 2009.07.09 |
---|---|
조선시대18~19세기벼루 (0) | 2009.07.09 |
조선시대(15~17세기) 벼루 (朝鮮時代 15~17世紀) 硯 (0) | 2009.07.09 |
백자재떨이(白磁灰盤) (0) | 2009.07.09 |
도장.인주합.날인구(印章.印朱盒.捺印具) (0) | 2009.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