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인렬왕후 한씨 / 장릉》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산 25-1
《계비 장렬왕후 조씨 / 휘릉》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동구릉 내
장릉(長陵)은 仁祖(1595-1649, 재위 1623-1649)와 仁烈王后 韓氏(1594-1635)의 陵이다.
仁祖(1595-1649)는 추존 元宗과 인헌왕후 구씨(仁獻王后 具氏)의 큰아들로 을미년(1595, 만력 23년)11월7일(을해)에 태어났다. 처음 능양군(綾陽君)에 봉해졌고, 특히 할아버지 선조의 귀여움을 받았다. 계해년(1623)에 반정에 성공하여 왕 광해군을 쫒아내고 왕위를 차지했다. 재위 중 이괄 亂 (仁祖 2년, 1624))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으로 세 차례나 서울을 떠나 각각 공주 . 강화도 . 남한산성으로 몸을 피해야만 했고, 병자호란에 패해 삼전도에서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 -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림)의 치욕을 겪었다. (차라리 자결이라도 했음 달리 보였겠다.) 기축년(1649) 5월에 창덕궁 대조전에서 55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 일생이 이러하니 반정을 일으켜 왕위를 탈취한 댓가로는 부족하구나!
인열왕후 한씨는(仁烈王后 韓氏1594-1635)는 한준겸(韓浚謙, 1557년 ~ 1627)의 넷째 따님으로 소현세자와 봉림대군(孝宗) 인평대군을 낳았고 42세에 용성대군을 낳은 뒤 산후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장릉은 인조13년(1635) 인열왕후가 세상을 떠나고 이듬해 파주 북쪽 운천리에 조성하였다. 1649년 인조가 세상을 떠나자 장릉 인열왕후 곁에 쌍릉으로 조성하였다. 그러나 화재가 자주 일어나고 뱀의 피해가 많아져 1731년(영조 7년)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쌍봉이었던 봉분을 합장능으로 만들었다. 이전 파주 운천의 봉분을 두른 병풍석에는 구름과 십이지신을 새겼던 것에 비해 지금의 장릉의 병풍석에는 모란과 연꽃 문양을 조각했는데 이는 이후 조성된 왕릉의 병풍석에도 적용되었다. 문·무인석 등의 석물은 옛 장릉에서 옮겨온 것과 새로 제작한 것이 함께 있어 17세기와 18세기에 제작된 왕릉 석물을 동시에 볼 수 있다.
장릉은 처음 인조14년(1635)에 인열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 파주 운천리에 능을 조성하였고, 1649년(인조27년) 인조가 세상을 떠나자 쌍릉의 형태로 능을 조성하였다. 이후 뱀의 피해가 있자 영조7년(1731)에 현재의 자리로 옮기며 합장릉으로 조성하였다고..
정자각(丁字閣)
祭禮 때 제물을 진설陳設(차림)하고제례를 드리는 집이다. 위에서 보면 건물이 한자의 '丁' 字 모양과 같다하여 정자각이라 부른다. 정자각 동쪽과 서쪽에 오르는 층계가 있는데, 이는 원래 제례의식이 동쪽으로 진입하여 서쪽으로 내려가는 동입서출(東入西出)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카메라를 줌으로 당겨 석물 좀 보고자 시도 했지만, 저 둔덕을 오르지 않고는 볼 수가 없겠다.
정자각 좌측에서 바라본 인조 능침 병풍석과 난간석 등 석물을 볼 수가 없어 답답하다. 사진에서 그늘진 뒤쪽 공터에 바라볼 수 있는 望臺시설이라도 만들어 놓거나 아님 정릉이나 선정릉처럼 근접해 볼 수 있도록 간결한 시설을 만들어 놓으면 좋겠다.
홍살문 우측 산자락에서 줌으로 담은 인조 · 인열왕후 능침 정경. 병풍석과 난간석을 돌렸고
봉분하나에 혼유석이 둘인 것으로 합장墳인 것을 알겠다.
달갑지 않고 변변치 못한 인물인데, 석물은 병풍석까지 두르고 聖君 세종대왕 능을 능가하게 꾸몄네.
능침 뒤 능선길에서 바라본 정경,
〈장릉비각長陵碑閣〉
《장릉비 長陵碑 》 〈전문前文〉
朝鮮國
仁祖大王長陵
仁烈王后祔左
《장릉비 長陵碑 》 〈후문 後文〉
仁祖憲文烈武明肅純孝大王萬曆乙未十一月七日乙亥誕生 初封綾陽君 天啓癸亥卽位崇禎己丑五月八日丙寅昇遐在位二十七年壽五十五 妃明德貞順仁烈王后韓氏萬曆甲午七月朔日丁丑誕生癸亥冊封 王妃 崇禎乙亥十二月九日乙酉昇遐壽四十二初葬于坡州治北雲川里卯坐之岡同原異穴崇禎紀元後一百四年辛亥八月三十日庚申移奉合葬于交河舊治後子坐之原 外則壬坐
《장릉비 長陵碑 》 〈역문譯文〉
조선국 인조대왕 장릉
인열왕후를 왼쪽에 모심
인조 현문열무명숙순효대왕은 을미년(1595, 만력 23년)11월7일(을해)에 탄생하여 처음 능양군(綾陽君)에 봉해졌고, 계해년(1623, 천계 3년)에 왕위에 올랐다. 기축년(1649, 숭정 기원 후 22년) 5월 8일(병인)에 세상을 떠났다. 재위는 27년이고 나이는 55세이다.
왕비 명덕 정순 인열왕후 한씨는 갑오년(1594, 만력 22년) 7월1일(정축)에 탄생하여 계해년(1623 천계 3년)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을해년(1635) 12월9일(을유)에 세상을 떠나니 나이는 42세이다. 처음에는 파주읍 북운천리 묘좌(동쪽에서 서쪽 방향) 산등성이 같은 언덕에 혈자리(무덤)를 달리하여 장사지냈다가 신해년(1731, 숭정 기원 후103년) 8월30일(경신일)에 교하 옛 관아 뒤쪽 자좌(복쪽에서 남쪽 방향) 언덕으로 능을 옮긴 후 합장하였다. 〈겉(외형)은 임좌(북북서에서 남남동 방향)이다.〉
〈수라간水剌間〉
산릉제례山陵祭禮 때 제례음식을 데우고 준비하던 곳.
〈수복방守僕房〉
제기祭器를 보관하거나 수릉관(守陵官 능을 지키는 관리) 또는 수복(守僕 청소 등 능의 잡다한 일을 맡아 보던 일종의 관노비)이 거처하던 곳.
2023년6월28일 촬영.
2009년 7월 촬영 ↕
인조 장릉 전경.
2023년 3월30일 (목요일) 坡州 仁祖 長陵 -鄕香-
《휘릉 徽陵》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동구릉 내
휘릉(徽陵)은 조선 제16대 仁祖의 繼妃 莊烈王后 趙氏(1624-1688)의 陵이다.
장렬왕후는 漢原府院君 趙昌遠의 따님으로 인조 16년(1638)에 왕비가 되셨다. 1659년 효종이 왕위에 오르시자 大妃가 되셨다. 효종, 현종, 숙종 대까지 3대에 걸쳐 왕실의 어른으로 계셨다. 현종 대에 있었던 효종과 인선왕후의 國葬 기간 중 장렬왕후가 상복을 입을 기간을 두고 서인과 남인이 치열하게 대립하던 '예송논쟁'이 있었다. 숙종 14년(1688) 자손 없이 65세로 창경궁 내반원에서 돌아가셨다.
정자각(丁字閣)
祭禮 때 제물을 진설陳設(차림)하고제례를 드리는 집이다.위에서 보면 건물이 한자의 '丁' 字 모양과 같다하여 정자각이라 부른다. 정자각 동쪽과 서쪽에 오르는 층계가 있는데 이는 원래 제례의식이 동쪽으로 진입하여 서쪽으로 내려가는 동입서출(東入西出)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장렬왕후 능침 우측과 정자각 우측 모습.
장렬왕후 능침 좌측과 정자각 좌측 모습.
〈장렬왕후 휘릉 능침〉 (2009년 6월 촬영)
휘릉 능침의 혼유석을 받치는 고석은 4개가 아닌 5개가 배치된 것이 특이하다.
문인석은 조선 전기의 조각보다 소매주름이 많아 졌고, 무인석의 갑주 문양은 단조롭다.
조선16대 임금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능침. (2023년3월17일 촬영)
다른 왕릉에는 혼유석 받침돌인 고석이 네귀퉁이 를 받치고 있어 4개인데, 장렬왕후 휘릉의 고석(鼓石)은 태조 건원릉이나 태종 헌릉과 같이 중앙에 1개가 더 있어 5개의 고석이 배치되어 있다 그 까닭이 흥미롭다.
능침 좌측의 모습이다.
《휘릉 표비 徽陵標碑》 (앞면 前面)
朝鮮國 莊烈王后 徽陵
〈휘릉 비문 徽陵 碑文〉 (음기陰記)
慈懿恭愼徽獻康仁貞淑溫惠莊烈王后趙氏 仁祖大王繼妃 天啓四年甲子十一月七日誕生 崇禎戊寅冊封 王妃戊辰八月二十六日昇遐十二月十六日葬于楊州健元陵西岡酉坐之原壽六十五 崇禎紀元後一百二十年立
〈휘릉 비문 음기 徽陵 碑文 陰記 〉 (역문 譯文)
자의 공신 휘헌 강인 정숙온혜 장렬왕후 조씨는 인조대왕의 두 번째 왕비인데, 천계4년 갑자년(1624,) 11월7일에 탄생하시어 무인년(1638)에 왕비에 책봉되셨다. 무진년(1688)8월26일에 돌아가시어 같은 해 12월16일 양주(구리시)건원릉 서쪽 산줄기의 유좌(서쪽에서 동쪽 방향)언덕에 장사지냈다.나이 65세이셨다. 숭정기원후 120년(1747)에 세우다.
〈장렬왕후 휘릉비각 莊烈王后 徽陵碑閣〉
〈수복방守僕房〉
제기祭器를 보관하거나 수릉관(守陵官 능을 지키는 관리) 또는 수복(守僕 청소 등 능의 잡다한雜事일을 맡아 보던 일종의 관노비)이 거처하던 곳.
2023년3월17일 -鄕香-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역대 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국 제18대 현종대왕, 명성왕후 김씨(숭릉)/顯宗大王, 明聖王后 金氏(崇陵) (0) | 2009.07.04 |
---|---|
조선국 제17대 효종대왕, 인선왕후 장씨(녕릉)/孝宗大王, 仁宣王后 張氏 (寧陵) (0) | 2009.07.04 |
조선국 제15대 왕 광해군·왕비 문성군부인 유씨(묘)/王 光海君·文城郡夫人 柳氏 (墓) (0) | 2009.07.04 |
조선국 제14대 선조·의인왕후 박씨·인목왕후 김씨(목릉)/宣祖·懿仁王后 朴氏·仁穆王后 金氏(穆陵) (0) | 2009.07.04 |
조선국 제13대 명종·인순왕후 심씨(강릉)/明宗·仁順王后 沈氏(康陵) (0) | 2009.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