羅州 伏岩里3號墳은 저변 36m×43m, 높이 6m의 方大形 墳丘墓로 분구속에 옹관묘, 수혈식석곽, 횡구식석실 등 영산강유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묘제가 망라되어 있으며 총 41기의 매장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96석실의 경우에는 석실 안에 4기으 옹관이 매납되는 등 옹관과 석실이 혼합되어 있어 주목됩니다.
출토유물 중에는 96석실의 금동신발 및 은장삼엽문환두소도, 5호석실 및 7호석실의 冠帽, 규두대도, 5호석실의 은화관식 등이 주목됩니다. 이중 은화관식과 관모는 백제 중앙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보여주며, 규두대도는 일본 고분시대 말기인 6세기망~7세기초에 주로 출토되고 있어 양 지역간 관계규명에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유공광구소호(有孔廣口小壺)
나주 복암리 3호분 96석실 / 높이15.7cm/문화재연구소
주칠토기(朱漆土器)
나주 복암리 3호분 / 높이4.9cm/문화재연구소
만 자명 개배("卍"字銘 蓋杯)
나주 복암리 3호분 8호 / 지름 (오른쪽)14.4cm/문화재연구소
철촉(鐵鏃)
羅州 伏岩里3號墳 96石室/길이(오른쪽)18.9cm/국립문화재연구소
호등(壺鐙)
나주 복암리 3호분 96석실 / 길이25.5cm/문화재연구소
재갈(銜)
나주 복암리 3호분 96석실 / 길이26.5cm/문화재연구소
운주.행엽(雲珠 . 杏葉)
나주 복암리 3호분 96석실 / 길이(왼쪽아래)11.5cm/문화재연구소
석재 두침(石製 頭枕)
나주 복암리 3호분 7호 석실 / 길이(왼쪽)36.7cm/문화재연구소
은화관식(銀花冠飾)
나주 복암리 3호분 5호 . 16호 석실 / 길이cm/문화재연구소
금제장식(金製裝飾)
나주 복암리 3호분 7호 석실 / 길이2.5cm/문화재연구소
〈 나주 복암리 3호분 7호 석실 금제장식 출토상태 〉
參考資料 : 國立博物館
'백제시대(百濟時代) > 백제 유물(百濟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 영산강유역의 대왜교류견해 (榮山江流域 對倭交流見解) (0) | 2009.10.28 |
---|---|
백제 영산강유역 유물(榮山江流域遺物) (0) | 2009.10.28 |
백제 영산강 유역 유적 2 (榮山江流域遺蹟) (0) | 2009.10.28 |
백제 영산강 유역 유적 1 (榮山江 流域 遺蹟) (2) | 2009.10.27 |
백제 청원 주성리유적(淸原 主城里遺蹟) (0) | 2009.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