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회화(繪畵)

한시각 필 북관수창록(韓時覺筆北關言+州唱錄) 中 칠보산전도(七寶山全圖)

鄕香 2009. 3. 24. 15:52

 

이 화첩은 김수항이 길주(吉州)지방관들의 안내를 받아 칠보산(七寶山)을 유회(遊會)하면서 읊은 시와 동행한 화원 한시각(韓時覺1621 ~?)이 시와 부합되는 승경(勝景)을 그려 시화첩으로 꾸민 것입니다. 총 32면으로 실경산수(實景山水) 6면과 24면의 시가 수록되었으며, 김수항과 함께 유람하면서 차운(次韻)한 지방관으로서는 홍석귀(洪錫龜1621-1679),민정중(閔鼎重1628-1692),조성보(趙聖輔1634-?),어진익(魚震翼1625-?) 등 입니다. 전반부에는 김수항이 길주에 도착하여 과거 개장일(8월20일) 며칠 전에 성진(城津)과 객관(客館)에서 仲秋節의 시흥을 읊고 있는 내용이며 후반부에서는 시험이 끝난 뒤 길주목에 있는 칠보산을 여행하면서 시를 쓰고 있습니다. 그림의 차례는 성진일출도(城津日出圖).조일헌도(朝日軒圖),금장사도(金藏寺圖),금강봉도(金剛峯圖),연적봉도(硯適峯圖),칠보산전도(七寶山全圖)로 구성되었는데, 絹本에 靑綠의 眞彩 안료를 써서 그렸습니다. 17세기의 진경산수의 전통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작품입니다.

 

한시각(韓時覺1621 -?)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유(子裕), 호는 설탄(雪灘). 아버지는 화원으로 통정(通政)을 지낸 선국(善國)이다. 화원 시진(時振)의 형이며, 이명욱(李明郁)의 장인이다. 화원으로 도화서(圖畵署)의 교수(敎授)를 지냈다. 1651년(효종 2) 김명국(金明國) 등과 현종비 명성왕후(明聖王后)의 〈가례도감의궤도〉 제작과 1671년 숙종비 인경왕후(仁敬王后)의 〈가례도감의궤도〉 제작에 참여했다. 1655년에 통신사행(通信使行)의 수행화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일본 사행중 종사관(從事官) 남용익(南龍翼)의 기행집인 〈부상시화첩 扶桑詩畵帖〉을 위해 그곳의 실경을 그렸다. 〈묵죽도〉 2점은 〈고화비고 古畵備考〉의 조선서화전(朝鮮書畵傳)에 수록되어 있다. 1664년(현종 5) 길주(吉州) 도회시(都會試)의 감독시관이었던 김수항(金壽恒)을 수행하여 함경도 지방을 여행하고 실경도를 그렸다. 1682년(숙종 8) 송시열(宋時烈)의 초상을 제작했는데, 현존하는 작품은 그 이모본(移模本)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물화를 잘 그렸으며, 기록성이 강한 실경산수도에 능했다. 현존 작품으로는 〈북새선은도 北塞宣恩圖〉(국립중앙박물관)·〈북관실경도 北關實景圖〉(개인 소장)·〈포대화상도 布袋和尙圖〉(간송미술관)·〈포대도〉(일본, 개인 소장)·〈사립인물도 蓑笠人物圖〉(국립중앙박물관) 등이 있다.

 

김수항<金壽恒 (1629년인조7년 - 1689숙종15년)> 본관은 안동. 자는 구지(久之), 호는 문곡(文谷). 할아버지는 우의정 상헌(尙憲)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광찬(光燦)이다. 영의정 수흥(壽興)의 아우이다. 1651년(효종 8) 알성문과에 장원급제하고, 1656년 문과 중시(重試)에 급제했다. 정언·교리 등을 거쳐 이조정랑·대사간에 오르고 1659년(현종 즉위) 승지가 되었다. 이듬해 효종이 죽자 자의대비(慈懿大妃)가 입을 상복이 문제가 되었다. 그는 송시열과 함께 기년설(朞年說:1년)을 주장해 남인의 3년설을 누르고, 3년설을 주장한 윤선도(尹善道)를 탄핵하여 유배시켰다(제1차 예송). 그뒤 이조참판 등을 거쳐 좌의정을 지냈다. 1674년 효종비가 죽은 뒤 일어난 제2차 예송 때는 대공설(大功說:9개월)을 주장했으나 남인의 기년설이 채택되었다. 1675년(숙종 1) 남인인 윤휴(尹鑴)·허적(許積)·허목(許穆) 등의 공격으로 관직을 빼앗기고 원주와 영암 등으로 쫓겨났다. 1680년 서인이 재집권하자 영의정이 되었고, 1681년 〈현종실록〉 편찬총재관을 지냈다. 서인이 남인에 대한 처벌문제로 노론(老論)과 소론(小論)으로 갈릴 때 노론의 영수로서 강력한 처벌을 주도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재집권하자 진도에 유배된 뒤 사약을 받았다. 저서로 〈문곡집〉과 〈송강행장 松江行狀〉이 있다. 현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영평 옥병서원(玉屛書院), 진도 봉암사(鳳巖祠), 영암 녹동서원(鹿洞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한시각필북관수창록(韓時覺筆北關言+州唱錄) 中  칠보산전도(七寶山全圖)

조선17세기/ 30×44cm비단에채색/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