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귀걸이는 중심 고리를 얇은 도금판 두 개를 붙여 둥글게 만든 굵은 고리식 귀걸이로, 가운데 부분에 이어 붙인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노는 고리 아래에는 상하로 고리를 둔 둥근 원심을 두고 그 원구에 금알갱이[累金技法]로 점선무늬를 장식하고 상하에 서로 엇갈린 4방위에 작은 원추형의 구획을 두어 그 안에 瓊玉을 장식하였습니다. 테두리에 눈테[刻目]로 처리된 작은 원판과 끝이 추모양으로 처리된 심엽형의 달개를 장식하였습니다. 이 귀걸이는 고구려지역에서 출토된 귀걸이와 비슷하고, 경주 황남대총 북분과 집안 마선구 1호에서도 비슷한 귀걸이가 출토되었습니다. 한반도 중부 이남에서 출토되는 귀걸이의 대부분이 고구려의 남하와 관련된 5세기 전반대의 귀걸이인 점을 미루어 보아 5세기 전반대의 귀걸이로 추정됩니다.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新羅 5世紀頃 /出土地未詳 /長6.2 cm/ 國立慶州博物館 所藏
'신라시대(新羅時代) > 신라 유물(新羅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제용문팔찌(金製嵌裝釧) (0) | 2009.11.21 |
---|---|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0) | 2009.11.21 |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0) | 2009.11.21 |
목가슴꾸미개(頸胸飾) (0) | 2009.11.21 |
신라토기 변천Ⅱ (新羅土器 變遷) (0) | 2009.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