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伽耶聯盟의 强者 多羅國의 首長墓
「陜川 玉田遺蹟」
5세기 후반대에는 金冠伽耶를 비롯한 洛東江河流地域의 가야세력들이 신라의 진출에 의해 그 힘이 약화되고, 신라양식의 토기가 낙동강 동안지역에 확산된다. 반면 낙동강 以西地域에 있던 伽耶群勢力들은 성장을 거듭하여 마침내 高靈의 大伽耶를 盟主國으로 하는 聯盟體 형태로 세력을 규합하여 신라의 세력 팽창에 맞서는 한편, 百濟와 유대관계를 가지면서도 백제의 漢城陷落과 熊津遷都라는 힘의 공백을 틈타 한동안 급성장을 보인다.
이들 대가야연맹국의 하나였던 多羅國은 《日本書記》 에 전하는 바와 같이 백제가 중재하여 541, 544년 두차례에 걸쳐 열린 伽耶復興會議의 參席者 현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맹주국인 고령의 加羅, 咸安의 安羅에 버금가는 힘을 가졌던 나라였다. 慶南 陜川郡 雙冊面 城山里에 소재하는 玉田(구슬밭) 유적은 이러한 多羅國의 중심세력들이 묻힌 분묘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유적에서는 4세기대에서 6세기 前半에 걸쳐 木廓墓, 大形竪穴式石槨墓, 高塚古墳 등이 造營되어 묘제상 다라국 자체의 꾸준한 성장과 변화를 보이고 있다. 대형수혈식석곽묘는 이 지역 고분문화의 독특한 一面을 보여준다.
한편, 이 지역의 토기문화가 소위 高靈系土器로 변화한 것은 高塚古墳期부터이며 이때부터 多羅國이 대가야연맹의 일원으로 편입되었음을 시사해 준다. 네자루나 되는 龍鳳文環頭大刀와 靑銅盒, 馬具類, 甲胄類가 대량 출토된 M3號墳은 연맹의 구성원이면서도 고령의 맹주국에 뒤지지 않는 독자적 정치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던 당시의 多羅國 최고의 지배자의 권위를 잘 반영해 준다.
〈陜川 玉田 M3號墳 全景〉
〈陜川 玉田 M3號墳 主槨 全景 〉
〈玉田 M3號墳出土 龍鳳文環頭大刀 〉
13자루의 大刀와 1자루의 大劍이 옥전M3호분에서 출토되었다. 이중에는 보기드물게 화려한 逸品인 4자루의 龍鳳文이 장식된 환두대도가 포함되어 있어 M3호분 주인공의 위상을 대변해준다. 이들 龍鳳文環頭大刀의 出自에 대해서는 南齊의 冊封에 의한 下賜品, 혹은 백제로부터의 선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옥전3호분에서 先行形式의 龍鳳文環頭大刀가 출토된 例가 있고, 또한 이런 휘귀한 성격의 大刀가 M3호 한 고분에서만 4자루나 출토되었다는 사실은 그 出自에 대해 여전히 의문을 남긴다.
〈환두대도/環頭大刀〉
→ 左로부터 單鳳文環頭大刀, 龍文裝環頭大刀, 龍鳳文裝環頭大刀, 龍鳳文裝環頭大刀.
陜川 玉田 M3號墳 出土
〈위 칼자루 세부 / 上 大刀把手部細部〉
단봉환두대도( 單鳳文環頭大刀)
용문장환두대도(龍文裝環頭大刀)
용봉문환두대도(龍鳳文環頭大刀)
용봉문환두대도(龍鳳文環頭大刀)
〈금동장주/金銅裝胄〉
陜川 玉田 M3號墳 出土
〈종장판주/從長板胄〉
평안북도 능오리산성
〈玉田遺蹟의 甲胄〉
옥전유적에서는 많은 양의 甲胄가 출토되었다. 이 유적 출토의 갑주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彎曲縱長板투구와 札甲이 主로서 5세기 전반대의 墳墓에서도 출토되고 있으나 5세기 후반대에 더 많은 증가를 보인다. 이때는 伏鉢이나 小札이 金銅으로 된 例도 있다. 특히 M3호분 출토의 복발이 없는 金銅裝胄는 平北 籠吾里山城에서 출토된 투구와 소찰의 도려낸 방향이 다를 뿐 형태나 제작방법이 거의 같아 고구려의 투구와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68호분에서 출토된 가죽으로 결합한 三角板板甲과 28호분 출토의 彎曲縱長板투구와 공반된 橫長板釘結板甲은 洛東江河流城의 縱長板板甲과 다른 系譜를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옥전 출토 甲胄 자료중 특히 주목되는 것은 지금까지는 2例밖에 알려지지 않았던 馬胄의 대량 출토이다. M3호분에서는 서로 다른 형식의 馬胄가 두점 출토되었는데 이중 챙이 세개의 산모양을 이룬 三花形(혹은 三山形) 의 馬胄는 日本 大谷古墳에서 출토된 例와 같아, 대곡고분 출토 馬胄의 系譜를 밝혀주고 있다.
이렇게 이 유적에서 實戰 騎乘用의 갑주 및 馬具類가 대량 출토된 반면 農工具類가 적게 출토된 것은, 黃江을 本據地로 한 多羅國이 江을 이용한 交易이나 정복활동을 그들의 생활기반으로 삼을 것을 반영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합천 옥전 M3호분 갑주 출토상태 / 陜川 玉田 M3號墳 甲胄 出土狀態〉
〈관모형주/冠帽形胄〉
陜川 玉田 M3號墳 出土
〈마주/馬胄〉
陜川 玉田 M3號墳 出土
〈마주/馬胄〉
陜川 玉田 M3號墳 出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