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7-8월의 꽃
《뚱딴지》
<뚱딴지> 돼지감자.
<물옥잠>
<민들레>
<패랭이 꽃>
<뱀무>
<도라지>
<누룩치>(왜우산풀.개우산풀.릉자근)
<쑥부쟁이>
<큰까치수염>
<큰까치수염>
<곤드레>
<곤드레꽃>
<수세미꽃>
<층층이꽃> 제천 하소뒷산
<층층이꽃>
<물레나물꽃봉우리>
<물레나물꽃>
<물레나물꽃 측면>
<물레나물 결과(結果)>
<곤드레> 윗모습
<곤드레> 측면
<장미>
<장미 측면>
<물봉선 좌측> 사람 얼굴 모양 무늬가 있는 작은 거미가 꽃에 붙어있습니다.
<물봉선 정면>
<물봉선 우측면>
<큰달맞이꽃>
<칡꽃 細部>
<칡넝쿨과 꽃>
<개당귀>
<개당귀>
<닭의장풀>
<의숭화>
<서양 엉겅퀴>
<메꽃>
<쑥갓>
<고구마 꽃>
<목화 꽃>
<목화 꽃봉우리>
<목화 열매>
<목화 꽃>
<대한민국 국화 (大韓民國 國花)> (Korea Chrysanthemum)
<우리나라 꽃>
<무궁화(無穹花)>
"꽃 중의 꽃 무궁화꽃 삼천만의 가슴에 피었네 피었네 영원히 피었네
백두산 상상봉에 한라산 언덕 위에 민족의 얼이 되어 아름답게 피었네"
이 노래는 1957년에 공보처에서 제정한 국민가요 보급을 위한 공모에 당선되어 채택된 곡이다.
처음에는 경신고등학교 음악교사인 테너 강준희에 의하여 불렸으나, 뒤에 송민도, 원방현 등의 노래로 크게 유행하였다.
4분의 2박자에 사장조로 되어 있고, 트롯 리듬에 형식이 무시된 32마디의 곡이다.
원래 6·25사변중 경상도 영덕전투에서 실명한 임억재 대위와 가약을 맺기로 한 전시미담(戰時美談)의 여주인공을 주제로 한 뮤지컬드라마의 주제곡이었다.
2012년 8월 -하소뒷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