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백자 육각 연적5점(靑華白磁六角硯滴)
연적은 벼루에 물을 붓기 위해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서 두 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물을 담고 따르기에 용이하게 만든 것입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연적은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들입니다. 그 형태는 사각.부채.육각.보주.두꺼비.해태.물고기.거북.화형.무릎형.복숭아.환형 등 다양합니다. 순수한 백자製도 있으나 청화백자 또는 청화에 銅畵를 곁들여 아름답게 장식한 것이 많습니다. 연적은 문방에서 실용으로 쓰이면서 완상품의 구실도 하였습니다.
1 . 육각형 윗면에 靑華線으로 바둑판 모양의 무늬를 시문하고 그 칸마다 바탕을 청화로 하여 백자 몸체의 색이 卍字文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옆 여섯 면에는 壽字文을 그려 넣었습니다. 청화의 발색이 곱고 푸른기가 섞인 회백색의 백자유를 시유하였으며, 빙렬은 없고, 깨끗한 모래를 받쳐 번조하였습니다.
청화백자육각분물수적(靑華白磁六角水滴)
조선19세기/높이 2.6 cm,지름 5.2cm/정소연所藏
2 . 육각형 윗면에 靑華線으로 바둑판 모양의 무늬를 시문하고 그 칸마다 바탕을 청화로 하여 백자 몸체의 색이 卍字文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옆 여섯 면에는 壽字文을 그려 넣었습니다. 청화안료의 발색이 곱고 광택이 있고 푸른기가 섞인 회백색의 백자유를 시유하였으며, 빙렬은 없고, 깨끗한 모래를 받쳐 번조하였습니다.
청화백자육각분물수적(靑華白磁六角水滴)
조선19세기/높이 2.9 cm,지름 4.2 cm/鄭甲鳳所藏
3 . 분원리 관요에서 만든 것으로 정육각형 윗면에 간결한 산수문을 그려 넣고 옆 6개의 면에는 壽.福 등의 吉祥의 서체를 1자씩 그렸습니다. 청화의 발색이 좋고 담백한 맛이 있습니다.
청화백자분원산수문분원육각연적(靑華白磁分院山水文六角硯滴)
조선19세기/높이 2.8 cm,지름 6.6 cm/鄭甲鳳所藏
4 . 육각형 윗면에 靑華線으로 바둑판 모양의 무늬를 시문하고 그 칸마다 바탕을 청화로 하여 백자 몸체의 색이 卍字文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옆 여섯 면에는 七寶文을 그려 넣었습니다. 굽은 받침대 모양으로 만들었습니다.
청화안료의 발색이 곱고 광택이 있고 푸른기가 섞인 회백색의 백자유를 시유하였으며, 빙렬은 없습니다.
청화백자卍자문육각연적(靑華白磁卍字文六角硯滴)
조선19세기/높이6.7cm,지름8.7cm/임금희所藏
5 . 육각형 윗면에 靑華線으로 바둑판 모양의 무늬를 시문하고 그 칸마다 바탕을 청화로 하여 백자 몸체의 색이 卍字文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옆 여섯 면에는 壽字文을 그려 넣었습니다. 옆면에는 선비의 기개와 지조를 의미하는 노송과 대나무를 솜씨있게 그렸으며 굽은 받침대형으로 만들었습니다. 청화안료의 발색이 곱고 광택이 있고 푸른기가 섞인 회백색의 백자유를 시유하였습니다.
청화백자卍자문육각연적(靑華白磁卍字文六角硯滴)
조선19세기/높이5.9cm,지름9.1cm/鄭甲鳳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