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문(李寅文. 1745-1814이후)은 화원화가로 자는 문욱(文郁), 호는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 유춘(有春) 또는 자연옹(紫煙翁)입니다. 김홍도(金弘道)와 동갑내기로서 당시 화단에서 쌍벽을 이루었으며, 또한 강세황(姜世晃), 신위(申緯) 등 선비화가들과도 깊은 교유를 가졌고, 산수, 포도, 영모(翎毛), 도석 인물(道釋人物) 등 다양한 소재에 뛰어났습니다.
이인문의 그림에 대한 특징은 筆線과 墨法이 부드러운 듯하면서도 매우 날카로운 데에서 美感을 주고 있습니다. 역대 명가의 화법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 새로 다듬었지만 새로운 山水美를 창조하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화면의 구도는 상단 왼편에서부터 대각으로 흘러 화면 오른편 화단으로 처리되어 안정감을 이루고 있는 무더기 무더기 樹林을 돌출시키데 따라서 全景의 다리를 건너는 인물을 차이를 두어 대비시켰고 배경을 이루고 있는 산들은 視感의 거리를 늦추려고 雲霧를 깔아서 공간의 깊이를 조성했습니다.
이인문의 先祖는 兩班이었으나 그의 당대에 이르러서는 몰락한 양반으로서 중인 계층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이인문의 선대에서는 화원이 나온 것 같지는 않았으나 그의 畵名이 높았던 탓인지 後代에서부터는 서너명이 화원의 代를 이었습니다.
고송유수관도인 이인문 필 산수도(古松流水館道人李寅文筆山水圖)
朝鮮時代 / 李寅文 1745~1821 / 紙本淡彩 /縱 23cm × 橫 27.5cm / 個人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포 양팽손 필 산수도(學圃梁彭孫筆山水圖) (0) | 2011.02.24 |
---|---|
하천 고운 필 호랑이 그림(霞川高雲筆虎圖) (0) | 2011.02.23 |
자연옹 이인문 필 춘경산수도(紫煙翁李寅文筆春景山水圖) (0) | 2011.02.22 |
복헌 김응환 필 해옥전도(複軒金應煥筆海獄全圖) (0) | 2011.02.21 |
복헌 김응환 필 하발연(復軒金應煥筆下鉢淵) (0) | 2011.02.21 |